2025-09-13 12:52
동기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동기(Synchronous)
- 순서대로 하나씩 실행된다는 의미
-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는 동기 방식으로 동작하는 싱글 스레드 언어 → 한번에 하나작업 처리
- 하나 끝날때 까지 계속 기다려야하는 블로킹 문제 발생(클릭 했는데 30초간 사이트 멈춤) → 비동기
심리학에서의 동기(Motivation)
- 추동이론 (Drive Theory)에서는 생리적 결핍(배고픔, 목마름)이 긴장 상태(추동)를 만들고, 이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행동한다고 설명
- 하지만 인간은 생리적 결핍을 해소해도 그 이상의 동기를 가질 수 있음
- 뇌과학에서는 도파민 과 보상 회로가 우리를 움직이게 한다고 본다.
내재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 정의: 활동 자체가 즐겁고 의미 있어서, 외부의 보상 없이도 그 행동을 하게 만드는 내면의 힘.
- 핵심: ‘과정’의 즐거움, 호기심, 성취감, 자기만족.
외재적 동기 (Extrinsic Motivation)
구분 | 내재적 동기 | 외재적 동기 |
---|---|---|
동인 | 활동 자체의 즐거움, 호기심, 성취감 | 외부 보상(돈, 칭찬), 처벌 회피 |
초점 | 과정 | 결과 |
지속성 | 높고 오래감 | 낮고, 보상이 사라지면 동기도 사라짐 |
창의성 |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높임 |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음 (정해진 길로만 가려 함) |
예시 | 취미 활동, 자원봉사, 학문 탐구 | 급여, 보너스, 성적, 마감일 |
욕구 이론: 인간의 채워지지 않는 갈증
- 인간에게는 특정 욕구들이 있으며, 이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힘이 행동의 근원이라고 본다. 1.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이론 (Maslow’s Hierarchy of Needs)
- 가장 유명한 동기 이론 중 하나로, 인간의 욕구가 단계적인 피라미드 구조를 이룬다고 설명한다.
- 하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상위 단계의 욕구에 대한 동기가 생긴다.
- 1단계 (생리적 욕구): 허기, 갈증, 수면 등 생존에 필수적인 가장 기본적인 욕구.
- 2단계 (안전의 욕구): 신체적, 경제적 위험으로부터 보호받고 싶다는 욕구.
- 3단계 (사회적 욕구): 소속감과 사랑, 우정 등 사회적 관계를 맺고 싶다는 욕구.
- 4단계 (존중의 욕구):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스스로를 존중하고 싶다는 욕구.
- 5단계 (자아실현의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최고의 자신이 되고 싶다는 궁극적인 욕구. 2. 허츠버그 2요인 이론 (Herzberg’s Two-Factor Theory)
- 주로 직무 환경에서의 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 만족과 불만족이 별개의 차원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위생 요인 (Hygiene Factors):
- 이 요인이 충족되지 않으면 ‘불만족’이 발생하지만, 충족된다고 해서 ‘만족’을 주지는 않는다.
- (예: 급여, 근무 환경, 회사 정책, 동료와의 관계). 이는 아프지 않게 예방하는 것과 같다.
- 동기 요인 (Motivators):
- 이 요인이 충족되면 ‘만족’과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동기를 부여한다.
- (예: 인정, 성취, 성장 가능성, 책임감). 이는 건강을 더 증진시키는 것과 같다.
과정 이론: 동기를 만드는 생각의 힘
- 욕구 그 자체보다,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인이 거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1. 목표 설정 이론 (Goal-Setting Theory)
- ‘최선을 다하라’는 모호한 목표보다 ‘구체적이고 도전적인 목표’가 훨씬 강력한 동기를 유발한다
- 목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때 가장 효과적이다 (SMART 원칙).
- Specific (구체적인): 무엇을 해야 할지 명확해야 한다.
- Measurable (측정 가능한): 진행 상황을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 Achievable (달성 가능한): 너무 쉽거나 불가능하지 않아야 한다.
- Relevant (관련성 있는): 개인의 더 큰 비전이나 가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 Time-bound (시간제한이 있는): 명확한 마감 기한이 있어야 한다. 2. 기대 이론 (Expectancy Theory) \
- 사람들은 자신의 노력이 어떤 성과로 이어지고, 그 성과가 자신에게 가치 있는 보상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 동기 부여된다는 이론이다.
- 동기는 세 가지 요소의 곱으로 결정된다.하나라도 0에 가까우면, 전체 동기 수준은 급격히 떨어진다.
동기 = 기대(Expectancy) x 수단(Instrumentality) x 유의성(Valence)
- 기대 (노력 → 성과): 내가 노력하면 원하는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자신감)
- 수단 (성과 → 보상): 성과를 내면 나에게 보상이 주어질까? (신뢰)
- 유의성 (보상의 가치): 그 보상이 나에게 얼마나 매력적인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