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12:41
Tags: 호르몬
도파민
-
단순한 쾌락 호르몬이 아니라, 기대 호르몬
-
무언가를 원하게 만들고, 그것을 얻기 위해 행동하게 하며, 결과가 기대보다 좋으면 ‘잘했어’라는 신호르 보내며 행동 강화
-
기대와 현실의 차이를 알려주는 학습 신호. 보상 예측 오류 신호
- 상황 1: 기대보다 더 큰 보상 (긍정적 예측 오류)
- 길을 걷다가 1,000원을 주울 것이라고 전혀 기대하지 않았는데, 5만 원짜리를 주웠습니다.
- 이때 뇌는 “와! 예상보다 훨씬 좋잖아?”라고 반응하며 도파민을 대량으로 분비합니다.
- 이 도파민 신호는 ‘앞으로 이 길을 걸을 때는 바닥을 잘 살펴보라’는 학습을 강화합니다.
- 상황 2: 기대와 일치하는 보상
- 매달 25일, 월급이 300만 원 들어올 것을 알고 있었고, 정확히 300만 원이 입금되었습니다.
- 기대와 실제 결과가 일치하므로, 도파민 수치에는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월급을 받아도 처음처럼 기쁘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상황 3: 기대보다 못한 보상 (부정적 예측 오류)
- 당연히 300만 원이 들어올 줄 알았는데, 250만 원만 입금되었습니다.
- 뇌는 “어? 생각했던 것과 다르잖아!”라고 반응하며 도파민 분비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 이 ‘도파민 하락’ 신호는 우리에게 실망감을 주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기대를 수정하도록 만듭니다.
- 상황 1: 기대보다 더 큰 보상 (긍정적 예측 오류)
-
쾌락과 고통의 시소 관계에서 말한 도파민 디톡스와 같은 방식은 과도한 자극에 지친 뇌의 보상 기준점을 재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