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20:12

Tags: 심리학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

  • 인간이 단순히 직접적인 경험(강화와 처벌)을 통해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학습한다는 관점

관찰 학습의 구조 4단계 메커니즘

  • 사회 학습 이론의 핵심은 관찰 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또는 **모델링(Modeling)**이다.
  • 반두라는 관찰을 통해 학습이 일어나기까지 4가지 인지적 과정이 순차적으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1단계: 주의 (Attention)

  • 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서 시작된다.
  • 우리는 세상의 모든 것을 관찰하고 배우지 않는다. 특정 모델의 행동에 더 주목하게 만드는 요인들이 있다.
구분요인설명예시
모델의 특성매력, 지위, 전문성모델이 매력적이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전문가일수록 더 많은 주의를 끈다.사람들은 유명 연예인이나 운동선수의 패션과 행동을 따라 하려는 경향이 있다.
관찰자의 특성인지 능력, 기대, 가치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이 있어야 하고, 그 행동이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느껴야 한다.요리 초보자는 유명 셰프의 요리 영상 중에서도 자신이 따라 할 수 있는 간단한 레시피에 더 집중한다.
행동의 특성독특함, 복잡성너무 단순하거나 너무 복잡하지 않고, 눈에 띄는 독특한 행동이 주의를 끌기 쉽다.평범한 걸음걸이보다는 독특한 춤 동작이 더 쉽게 시선을 사로잡는다.

2단계: 파지 (Retention / Memory)

  • 주의를 기울여 관찰한 행동을 기억 속에 저장하는 단계다.
  • 이 정보는 언어적 형태(예: “오른발을 먼저 내디딘다”)나 심상(마음속 이미지)의 형태로 부호화되어 저장된다.
  • 단순히 보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그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머릿속에 남겨두는 과정이다.
  • 예시:
    • 운전 강사의 시범을 본 후, ‘클러치를 밟고, 기어를 1단에 놓고, 서서히 클러치를 떼면서 액셀을 밟는다’는 순서를 머릿속으로 되뇌거나 그 장면을 이미지로 기억하는 것.

3단계: 재생 (Reproduction / Motor)

  • 기억 속에 저장된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는 단계다.
  • 이는 인지적인 과정을 물리적인 행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 단계는 개인의 신체적 능력과 기술 수준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진다.
  • 한계:
    • 마이클 조던의 화려한 덩크슛을 수백 번 보고 완벽하게 기억하더라도(주의, 파지),
    • 그와 같은 신체적 능력이 없다면 똑같이 재생할 수는 없다.
  • 피드백의 중요성:
    •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관찰하고 평가하며(자기 교정),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통해 행동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4. 동기 (Motivation)

  • 관찰하고 기억하며, 심지어 수행할 능력까지 갖췄다고 해서 반드시 그 행동을 하지는 않는다.
  •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게 만드는 내적 또는 외적 동기가 필요하다. 이 단계에서 반두라는 행동주의의 ‘강화’ 개념을 독창적으로 확장한다.
동기 유형설명예시
직접 강화스스로 행동을 수행하고 직접 보상을 받는다.친구의 칭찬을 듣고 싶어서 친구가 했던 유머를 따라 한다.
대리 강화모델이 행동을 하고 보상받는 것을 관찰하는 것. 이것이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다.형이 심부름을 하고 부모님께 용돈을 받는 것을 보고, 동생도 심부름을 하려고 한다.
자기 강화외부의 보상 없이, 스스로 설정한 기준을 달성했을 때 만족감이나 성취감을 느끼는 것.스스로 정한 목표인 매일 1시간 운동하기를 달성하고 뿌듯함을 느낀다.
  • 특히 학습(Learning)과 수행(Performance)은 별개라는 점이 중요하다.
  • 우리는 모델의 행동을 보고 배울 수 있지만(주의, 파지), 동기가 부여되지 않으면 그 행동을 실제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