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01:00

Tags: 사상 심리학 철학

이기주의

  • 모든 인간 행동의 궁극적 동기가 자기 이익이라는 심리적 이기주의와,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윤리적 이기주의
구분심리적 이기주의 (Psychological Egoism)윤리적 이기주의 (Ethical Egoism)
성격서술적(Descriptive) 이론규범적(Normative) 이론
주장모든 인간의 행동은 궁극적으로 자기 이익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만 한다.
핵심 질문인간은 본성적으로 이기적인가?무엇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인가?
반론순수한 이타주의의 존재 가능성을 부정한다. (예: 위험을 무릅쓴 구조 활동)개인의 이익이 충돌할 때 해결책을 제시하기 어렵다. 보편적 도덕과 충돌할 수 있다.
예시기부를 하는 이유는 남을 돕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로 인해 느끼는 뿌듯함, 죄책감 해소, 사회적 인정 때문이다.A와 B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거래를 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 내게 손해라면 남을 도울 의무는 없다.

심리적 이기주의

  • 이는 인간 본성에 대한 주장이다.
  • 겉으로 아무리 이타적으로 보이는 행동이라도 그 깊은 곳을 파고들면 결국 자기 이익과 연결된다고 본다.
    • 누군가를 돕는 행위는 동정심에서 비롯된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기 위함이거나,
    • 선행을 통해 얻는 심리적 만족감(따뜻한 온정 효과, warm-glow effect),
    • 혹은 사회적 평판이나 천국에 대한 믿음 같은 보상을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 이 주장은 반증이 거의 불가능하기에 과학적 이론보다는 철학적 가정에 가깝다는 비판을 받는다.

윤리적 이기주의

  • 이는 도덕적 관점에 대한 주장이다.
    •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다’고 말한다. 여기에도 여러 갈래가 있다.
    • 개인적 윤리적 이기주의:
      • “나 자신은 내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겠다.”
    • 개별적 윤리적 이기주의:
      • “모든 사람은 나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 (매우 자기중심적이라 거의 지지받지 못한다)
    • 보편적 윤리적 이기주의:
      • “모든 사람은 각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윤리적 이기주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