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3:13
인센티브
- 행동을 유발하거나 억제하는 외부의 ‘당근’ 또는 ‘채찍’과 같은 역할
- 흔히 회사에서 주는 보상 같은걸 떠올리기 쉽지만 더 근본적인 동기부여 시스템
- 1. 보상 과 처벌 경향(Reward and Punishment Super Response Tendency) 에서 맨처음 이야기하듯 보상 설계는 매우 중요.
- 기대 ⇒ 동기 부여 ⇒ 행동 ⇒ 보상 및 학습 단계를 거쳐 우리가 움직이게 만든다.
- 하지만 과잉 정당화 효과 같이 내적 동기를 잃고 외적 동기로 움직이는 순간 내적 동기가 사라져 더이상 보상 없이는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
구분 기준 | 유형 | 설명 | 대표적인 예 |
---|---|---|---|
결과의 성격 | 긍정적 인센티브 | 행동을 했을 때 얻게 되는 긍정적인 보상.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 보너스, 칭찬, 상장, 승진 |
부정적 인센티브 | 특정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 받게 되는 처벌이나 불이익. 특정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 벌금, 해고, 비난, 성적 하락 | |
보상의 출처 | 외재적 인센티브 | 행동의 결과로 외부에서 주어지는 물질적, 사회적 보상. | 돈, 음식, 점수, 타인의 인정 |
내재적 인센티브 | 행동 그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 성취감, 즐거움. | 취미 활동, 지적 호기심 충족, 자아실현 |
- 내재적 동기가 부족한 영역에 활용하라:
- 아무도 즐거워서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거나 지루한 서류 작업을 하지는 않는다.
- 이처럼 내재적 동기가 생기기 어려운, 단순하고 반복적인 과업에는 외재적 인센티브가 매우 효과적이다.
- ‘성과’가 아닌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라:
- 보상을 줄 때, 결과물의 품질이나 성과에 대해서만 보상하면 사람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도전을 기피하게 될 수 있다.
- 대신,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노력, 발전, 끈기를 칭찬하고 격려하는 방식은 내재적 동기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 이는 ‘성장 마인드셋’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 예상치 못한 보상을 제공하라:
- 과잉 정당화 효과는 주로 ‘이 일을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 따라서 보상을 정기적으로 주기보다는, 예고 없이 깜짝 선물처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예상치 못한 칭찬이나 보상은 행동의 원인을 외부 탓으로 돌리지 않게 하여 내재적 동기를 보호한다.
- 물질적 보상과 언어적 보상을 균형 있게 사용하라:
- 돈이나 상품 같은 물질적 보상은 통제 수단으로 인식되기 쉬워 내재적 동기를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
- 반면, 진심 어린 칭찬이나 인정과 같은 언어적 보상은 개인의 유능감을 높여주어 내재적 동기를 오히려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