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01:17
행동 (Behavior)
- 유기체가 환경에 반응하여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움직임과 작용
- 눈에 보이는 신체적 움직임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 활동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 기준 | 종류 | 설명 | 예시 |
|---|---|---|---|
| 관찰 가능성 | 외현적 행동 (Overt) | 겉으로 드러나 다른 사람이 관찰할 수 있는 행동 | 걷기, 말하기, 웃기, 물건 던지기 |
| 내현적 행동 (Covert) | 외부에서 관찰할 수 없는 내면의 정신 활동 | 생각하기, 느끼기, 기억하기, 상상하기 | |
| 의도성 | 수의적 행동 (Voluntary) | 의식적인 의도와 통제하에 이루어지는 행동 | 책 읽기, 운전하기, 친구에게 전화 걸기 |
| 불수의적 행동 (Involuntary) | 의지와 상관없이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행동 | 눈 깜빡임, 재채기, 놀랐을 때 심장박동 증가 | |
| 학습 여부 | 선천적 행동 (Innate) | 태어날 때부터 유전적으로 가지고 있는 본능적 행동 | 갓난아기가 우는 것, 거미가 거미줄을 치는 것 |
| 학습된 행동 (Learned) | 경험과 훈련을 통해 후천적으로 습득하는 행동 | 언어 구사, 자전거 타기, 사회적 예절 지키기 |
1) 행동주의: 환경이 나를 만든다
- 행동주의의 핵심은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즉 학습을 통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Classical Conditioning)
-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는 개 실험을 통해 우연히 위대한 발견을 했다.
- 개는 원래 음식(무조건 자극)을 보면 침(무조건 반응)을 흘린다. 파블로프는 음식을 줄 때마다 종소리(중성 자극)를 함께 들려주었다.
- 이 과정이 반복되자, 나중에는 종소리만 들어도 개가 침을 흘렸다.
- 아무런 의미 없던 종소리가 음식과 ‘연관’되면서 침을 흘리게 하는 새로운 힘(조건 자극)을 얻게 된 것이다.
비유: 레몬을 생각만 해도 입에 침이 고이는 현상, 특정 노래를 들으면 옛 연인이 떠오르는 경험 등이 모두 고전적 조건화의 예시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 세상의 수많은 자극들이 우리의 감정과 신체 반응을 조건화하고 있다.
-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Operant Conditioning)
| 구분 | 긍정적 (Positive, 무언가 제공) | 부정적 (Negative, 무언가 제거) |
|---|---|---|
| 강화 (Reinforcement, 행동 증가) | 정적 강화: 칭찬, 보너스 등 긍정적 자극 제공 | 부적 강화: 잔소리 중단, 청소 면제 등 부정적 자극 제거 |
| 벌 (Punishment, 행동 감소) | 정적 처벌: 꾸중, 체벌 등 부정적 자극 제공 | 부적 처벌: 용돈 삭감, 스마트폰 압수 등 긍정적 자극 제거 |
2) 인지주의: 행동의 중심에는 ‘생각’이 있다
-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인간의 정신 과정을 컴퓨터의 정보 처리 과정에 비유하는 인지주의(Cognitivism) 가 등장했다.
- 인지주의의 핵심은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인지 과정(생각)‘이 존재하며, 이것이 행동을 결정한다” 는 것이다.
- 같은 상황에서도 사람마다 다르게 행동하는 이유는 바로 이 ‘인지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비유: 친구가 내 인사를 받지 않았을 때(자극), “나를 무시하나?”(해석)라고 생각하면 기분이 나빠져(감정) 그 친구를 피하는 행동(반응)을 할 수 있다. 반면, “바쁜 일이 있나 보네”(해석)라고 생각하면 아무렇지 않게 넘어갈 수 있다. 행동을 바꾼 것은 자극이 아니라 ‘해석’ 즉, 생각이다.
3) 사회 학습 이론: 우리는 보고 배운다
- 앨버트 반두라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를 절충하여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을 제시했다.
- 그는 인간이 직접적인 보상이나 벌 없이도, 타인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것만으로도 학습하고 행동한다고 주장했다.
- 그의 유명한 ‘보보 인형 실험’에서, 아이들은 어른이 인형을 공격적으로 다루는 모습을 보기만 한 후, 어른이 없어져도 그대로 따라 했다.
- 이는 인간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복잡한 사회적 행동을 배운다는 것을 보여준다.
행동의 구조 파헤치기: ABC 모델
- 행동 분석학에서는 ABC 모델이라는 강력한 분석 도구를 사용한다.
- 이는 어떤 행동이든 세 가지 요소의 연결고리로 설명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 이를 기반으로 습관 화를 더 자연스럽게 가능
- A (Antecedent, 선행사건):
- 행동이 일어나기 직전의 상황이나 자극. 행동의 ‘방아쇠’ 역할을 한다.
- B (Behavior, 행동):
-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행동.
- C (Consequence, 결과):
- 행동 직후에 따라오는 결과. 이 결과가 다음 행동(B)의 발생 확률에 영향을 미친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와 연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