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3:09
Tags: 심리학
스키너 상자
- 동물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B.F. 스키너가 고안한 통제된 실험 장치이다.
- 보상]과 처벌을 통해 특정 행동의 빈도를 조절하는 ‘조작적 조건형성’ 원리를 실험적으로 증명
| 구성 요소 | 역할 및 기능 |
|---|
| 반응 장치 (레버 또는 원반) | 동물이 특정 행동(누르기, 쪼기 등)을 수행하는 장치. 행동의 빈도와 시점을 정확히 기록한다. |
| 강화물 공급 장치 | 동물이 특정 행동을 했을 때 먹이나 물 같은 보상(강화물)을 자동으로 제공한다. |
| 자극 발생기 (빛, 소리) | 특정 신호(예: 초록 불빛)가 나타났을 때만 행동이 보상받도록 하여, 변별 자극에 대한 학습을 연구한다. |
| 전기 격자 바닥 | 불쾌한 자극(벌)을 제공하여 특정 행동을 억제하거나, 불쾌한 자극을 멈추는 행동(부적 강화)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
| 기록 장치 | 동물의 행동 횟수와 시간 등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수집한다. |
| 구분 | 유쾌한 자극 제공 (정적, Positive) | 불쾌한 자극 제거 (부적, Negative) |
|---|
| 행동 증가 (강화) | 정적 강화 (예: 칭찬, 보너스) | 부적 강화 (예: 잔소리 멈춤, 경고음 해제) |
| 행동 감소 (벌) | 정적 처벌 (예: 꾸중, 전기 충격) | 부적 처벌 (예: 용돈 삭감, 권한 박탈) |
4가지 간헐 강화 계획
| 강화 계획 | 설명 | 예시 | 행동 패턴 |
|---|
| 고정 비율 (Fixed-Ratio) | 정해진 횟수의 행동을 완수하면 보상 | 영업사원이 10대의 차를 팔 때마다 보너스를 받음 | 보상 직후 잠시 쉬었다가, 다음 보상을 위해 다시 빠르게 행동하는 계단식 패턴 |
| 변동 비율 (Variable-Ratio) | 평균적으로 특정 횟수의 행동을 하면 보상 (예측 불가) | 슬롯머신, 게임의 랜덤 아이템 뽑기, 낚시 | 가장 중독성이 강하고 소거 저항이 큼. 언제 보상이 나올지 몰라 매우 높고 꾸준한 행동률을 보임 |
| 고정 간격 (Fixed-Interval) |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첫 행동에 대해 보상 | 주급, 월급, 정기 시험 | 보상 시점이 다가올수록 행동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보상 직후에는 행동이 거의 없는 부채꼴 모양 패턴 |
| 변동 간격 (Variable-Interval) | 불규칙한 시간 간격 후 첫 행동에 대해 보상 (예측 불가) | 불시에 오는 중요한 이메일 확인, 상사의 랜덤한 칭찬 | 언제 보상이 올지 모르기 때문에 비교적 꾸준하고 안정적인 행동률을 보임 |
언급한 노트 (Outgoing Links)
백링크 (Back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