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22:35
Tags: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
하드웨어(Hardware) 컴퓨터의 신체
1) 중앙 처리 장치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두뇌
- 모든 계산과 판단, 명령 실행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
- 인간의 두뇌처럼 모든 정보를 해석하고 처리하여 다른 기관에 명령을 내린다.
- CPU의 성능은 흔히 ‘코어(Core)‘의 개수와 ‘클럭(Clock)’ 속도로 표현,
- 코어는 일하는 사람의 수, 클럭은 그 사람의 작업 속도에 비유할 수 있다.
2) 주기억장치 (Memory, 메모리) - 작업대
- CPU가 당장 처리해야 할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이다.
- 주로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이라고 부른다.
- RAM의 가장 큰 특징은 ‘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지면 모든 내용이 사라진다.
- 이는 마치 우리가 일을 할 때 필요한 서류와 도구들을 책상 위에 펼쳐놓는 것과 같다.
- 책상이 넓을수록(RAM 용량이 클수록) 더 많은 작업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3) 보조기억장치 (Storage) - 서재 또는 창고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저장 공간이다.
- 운영체제, 각종 프로그램, 문서, 사진 등 모든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곳이다.
- HDD (Hard Disk Drive):
- 자기(磁氣) 디스크를 물리적으로 회전시켜 데이터를 읽고 쓰는 전통적인 방식.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소음, 충격에 약하다.
- SSD (Solid State Drive):
- 반도체 칩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소음이 없으며 내구성이 강하지만, 가격이 비싼 편이다.
구분 | HDD (Hard Disk Drive) | SSD (Solid State Drive) |
---|---|---|
작동 원리 | 자기 디스크 회전 (물리적) |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전자적) |
속도 | 느림 | 매우 빠름 |
소음/발열 | 있음 | 거의 없음 |
내구성 | 충격에 약함 | 충격에 강함 |
가격 | 저렴 | 상대적으로 고가 |
주요 용도 | 대용량 데이터 백업 | 운영체제, 프로그램 설치 |
4) 입출력장치 (Input/Output Devices) - 오감과 손발
- 컴퓨터가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통로다.
- 입력장치: 컴퓨터에 명령이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 (예: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스캐너)
- 출력장치: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인간이 인지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장치 (예: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5) 메인보드 (Mainboard) - 뼈대와 신경계
- 위에서 언급한 CPU, RAM, 저장장치 등 모든 부품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회로 기판이다.
- 각 부품들이 서로 데이터를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통로(버스, Bus)를 제공하며, 전력을 공급하는 등 컴퓨터의 근간을 이룬다.
소프트웨어(Software) 컴퓨터의 정신
-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려주는 명령의 집합이며, 컴퓨터의 존재 이유 그 자체다. 1) 시스템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OS, Operating System)
-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다.
-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저 실행되어 모든 하드웨어 장치를 깨우고 점검한다.
- 우리가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운영체제는 CPU와 RAM 자원을 그 프로그램에 할당해주고, 키보드 입력이나 화면 출력을 관리해준다.
- Windows, macOS, Linux가 대표적인 PC 운영체제이며, 스마트폰에서는 Android와 iOS가 있다.
2) 응용 소프트웨어 (Application Software)
- 특정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모든 프로그램을 말한다.
- ‘앱(App)’ 또는 ‘프로그램’이라고도 부른다.
- 문서 작성을 위한 워드 프로세서, 웹 서핑을 위한 웹 브라우저, 게임, 그래픽 편집 툴 등 우리가 컴퓨터를 이용해 실제로 하는 모든 작업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