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23:14
Tags: 심리학 경제학
위험
- 불확실성 과 그로인한 잠재적 영향(긍정적 또는 부정적)
- 위험 = 확률 X 영향
- 영향이 아무리 커도 확률이 매우 낮으면 의미 없음(복권, 운석)
- 확률이 아무리 커도 영향이 매우 낮으면 의미 없음(아침 식사)
- 영향이 적당히 크고 확률도 무시하기엔 큰 것은 의미 있음(접촉 사고)
- 블랙스완 이론처럼 발생확률 아무리 낮아도 일단 발생하면 엄청난 충격 가져오는 사건은 존재하며, 철저히 위험 관리해도 완벽한 통제는 불가능하다.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자동차 운전) |
---|
사건 (Event) | 위험을 촉발하는 특정 상황이나 발생 | 교통사고가 나는 것 |
확률 (Probability) | 해당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 | 도심 주행 중 사고가 날 확률이 1%라고 가정 |
영향 (Impact) | 사건이 발생했을 때 초래되는 결과 (긍정적 또는 부정적) | 차량 파손(수리비 500만 원), 신체 부상, 사망 등 |
불확실성 (Uncertainty) | 사건의 발생 여부, 시점, 영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 | 언제, 어디서, 어떤 규모의 사고가 날지 아무도 모름 |
위험 사용법: 체계적인 위험 관리 4단계
1단계: 위험 식별 (Risk Identification) - 무엇이 잘못될 수 있는가?
2단계: 위험 분석 (Risk Analysis) - 얼마나 위험한가?
- 정성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 확률과 영향을 ‘높음, 중간, 낮음’과 같은 등급으로 평가하여 위험 매트릭스에 배치하고 우선순위를 시각적으로 파악합니다.
| 영향: 낮음 | 영향: 중간 | 영향: 높음 |
---|
확률: 높음 | 중간 등급 | 높은 등급 | 최우선 관리 |
확률: 중간 | 낮은 등급 | 중간 등급 | 높은 등급 |
확률: 낮음 | 무시 가능 | 낮은 등급 | 중간 등급 |
-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 위험을 구체적인 숫자, 특히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여 평가.
EMV = 발생 확률 (%) x 예상 손실액 (원)
- 예시: 프로젝트가 1개월 지연될 확률이 20%이고, 이때 발생하는 손실이 1억 원이라면?
- EMV = 0.20 x 100,000,000원 = 20,000,000원 (지연위험)
3단계: 위험 대응 계획 (Risk Response Planning) -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전략 | 설명 | 예시 (프로젝트 핵심 개발자의 퇴사 위험) |
---|
회피 (Avoid) | 위험의 원인을 제거하여 위험 발생 가능성을 0으로 만듦 | 해당 개발자에게 의존하는 기술 스택을 아예 사용하지 않음 |
완화 (Mitigate) | 위험의 발생 확률이나 영향을 줄이는 조치를 취함 | 문서화 강화, 지식 공유 세션 진행, 다른 팀원 교육 |
전가 (Transfer) | 위험으로 인한 결과를 제3자에게 떠넘김 | 핵심 업무를 외부 전문 업체에 아웃소싱 (계약을 통해 책임 전가) |
수용 (Accept) | 위험을 받아들이고, 발생 시 대처할 비상 계획을 세움 | 대체 인력 채용을 위한 비상 자금 마련, 퇴사 시 업무 공백 최소화 계획 수립 |
4단계: 위험 감시 및 통제 (Risk Monitoring & Control)
시스템 리스크 vs 비체계적 리스크
- 시스템 리스크 (Systemic Risk, 체계적 위험):
- 시장 전체, 혹은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피할 수 없는 위험 (예: 글로벌 경제 위기, 금리 인상, 전쟁)
- 포트폴리오를 아무리 다각화해도 피하기 어렵다.
- 비체계적 리스크 (Idiosyncratic Risk): 특정 기업이나 산업에만 국한된 개별적인 위험. (예: 특정 기업의 파업, 신제품 실패)
- 이는다각화를 통해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다.
위험 인식의 심리학
언급한 노트 (Outgoing Links)
백링크 (Back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