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01:00

Tags: 지식관리

체크리스트

  • 복잡한 절차에서 발생하는 실수를 줄이기 위해 항공 분야에서 처음 고안
    • 아무리 뛰어난 전문가여도 복잡한 절차 앞에서는 실수 할 수 있다.
    • 복잡한 절차를 시스템으로 보완할 방법
  • 효과적인 체크리스트는 명확하고 간결하며, 행동 중심으로 작성되어야 하고, ‘Read-Do’와 ‘Do-Confirm’ 두 가지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 체크리스트는 인지 부하를 줄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도우며, 책임감을 부여하는 심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작동하여 개인과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
좋은 체크리스트의 조건나쁜 체크리스트의 예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 사용모호하고 추상적인 표현 (예: “업무 잘하기”)
구체적인 행동 지시포괄적인 목표 나열 (예: “프로젝트 성공시키기”)
논리적인 순서뒤죽박죽 섞인 항목들
핵심 항목에 집중사소한 모든 절차를 나열한 긴 목록
지속적인 테스트와 개선한 번 만들고 다시는 보지 않는 문서

1) Read-Do (읽고-수행하기)

이 방식은 절차를 하나씩 읽고, 해당 행동을 즉시 수행하는 것입니다. 요리 레시피나 가구 조립 설명서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각 단계가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고, 이전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 예시: 커피 내리기

    1. 원두 20g을 계량한다.

    2. 원두를 그라인더에 넣고 분쇄한다.

    3. 필터를 접어 드리퍼에 올린다.

    4. 분쇄된 원두를 필터에 담고 수평을 맞춘다.

    5. 92°C의 물을 준비한다.

    6. … (이하 생략)

2) Do-Confirm (수행하고-확인하기)

이 방식은 전문가가 자신의 경험과 지식에 따라 일련의 작업을 먼저 자유롭게 수행한 뒤, 체크리스트를 보며 빠진 항목이 없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항공기 조종사나 외과 의사들이 사용하는 방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작업의 순서가 비교적 유연하고, 전문가의 판단이 중요하지만, 치명적인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요할 때 효과적입니다.

  • 예시: 외출 전 준비물 확인

    • (이미 가방에 필요한 물건들을 챙긴 상태에서)

    1. 지갑

    2. 스마트폰

    3. 열쇠

    4. 이어폰

    5.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