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02:06

Tags: 경제학

ELS(Equity Linked Securities)

  • 주가연계증권으로,일반적인 예금이나 채권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면서도 주식 직접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상품을 원하는 투자자들의 니즈에 의해 탄생
  • 채권파생상품을 결합한 투자 상품으로, 원금 보장형부터 고위험 고수익형까지 다양한 형태가 존재
  • 홍콩 ELS 사태처럼 시장 급변동 시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투자 전 상품의 구조와 위험성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

ELS의 기본 원리: 채권과 파생상품의 결합

  • ELS 상품의 핵심은 채권과 파생상품의 결합에 있다.
    • 예를 들어, 100억 원의 투자금이 들어오면 대부분의 금액, 가령 90억 원은 안전한 채권에 투자되어 만기 시 약속된 원금과 이자를 확보한다.
    • 그리고 여기서 발생하는 5%의 이자(4.5억 원)를 가지고 파생상품에 투자하여 추가 수익을 노리는 구조다.
    • 이러한 구조 덕분에 상품 전체의 하단, 즉 최소 원금이 보장되는 형태가 가능하며,
    • 이 경우 투자금의 대부분이 채권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원금 보장형과 비보장형 ELS의 차이

  • 원금 보장형 ELS는 100억 원 전체를 채권에 투자하여 만기 시 원금 100억 원을 확실히 보장하는 상품이다.
    • 여기서 발생하는 이자(예: 연 5억 원)는 모두 파생상품 투자에 활용되며,
    • 최악의 경우 파생 투자가 실패하여 이자 수익이 0이 되더라도 원금 손실은 없다.
    • 하지만 이러한 안정성 때문에 기대 수익률은 보통 5~6% 수준으로 제한된다.
  • 반면, 원금 비보장형 ELS는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채권 비중을 낮추고(예: 80억, 70억 등), 파생상품 비중을 높인다.
    • 이 경우 기대 수익률은 올라가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