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23:33
Tags:심리학
도피
- 투쟁과 도피 라는 생존의 순간의 궁극의 선택지
- 심리적 도피는 해당 도피 매커니즘의 연장선
- 고통, 불안, 두려움 같은 부정적 감정을 피하려는 본능적인 방어기제
-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 불안, 두려움, 슬픔은 위험 신호가 아니라, 당신이 그만큼 그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증거다.
도피 유형
종류 | 설명 | 대표적인 예시 |
---|---|---|
행동적 도피 (Behavioral Avoidance) | 불편한 상황이나 감정을 유발하는 ‘행동’ 자체를 피하는 것. 가장 눈에 띄고 흔한 형태의 도피입니다. | - 중요한 시험공부를 미루고 유튜브 보기 - 불편한 사람과의 약속을 계속 취소하기 - 발표 불안 때문에 발표 기회 자체를 거절하기 - 알코올, 약물, 게임, 쇼핑 등에 중독되기 |
인지적 도피 (Cognitive Avoidance) | 불편한 ‘생각’이나 ‘기억’을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억누르거나 다른 생각으로 덮어버리려는 시도입니다. | - “다 잘 될 거야”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애써 외면하기 - 실패 가능성에 대한 생각을 멈추기 위해 일부러 바쁘게 지내기 - 과거의 트라우마나 상처를 떠올리지 않으려고 노력하기 - 걱정스러운 생각이 들 때마다 TV를 켜거나 음악을 크게 듣기 |
감정적 도피 (Emotional Avoidance) | 슬픔, 분노, 불안과 같은 특정 ‘감정’을 느끼지 않으려고 감각을 둔하게 만들거나 억압하는 것입니다. | - 슬픈 영화를 보고도 눈물이 나지 않도록 감정을 억누르기 - 화가 나는 상황에서 아무렇지 않은 척 무표정으로 일관하기 - 불안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 감정을 메마르게 만들기 - “나는 원래 쿨한 사람이야”라며 감정 표현 자체를 차단하기 |
도피의 악순환 4단계
- 문제/감정 발생: 불안, 두려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에 직면. (예: 중요한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가옴)
- 도피 행동: 불안감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행동에 몰두합니다. (예: SNS를 하거나, 게임을 시작함)
- 일시적 안도감: 도피 행동을 하는 동안 불안감이 잠시 감소하고 편안함을 느낍니다. 뇌는 ‘이 행동이 나를 편안하게 해준다’고 학습합니다.
- 문제 악화 및 자기 비난: 마감일은 더 가까워지고, 일을 끝내지 못한 자신을 보며 무력감, 죄책감, 수치심을 느낍니다. 이는 초기보다 더 큰 불안감을 유발하고, 결국 다음 문제 상황에서 더 강력한 도피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도피의 굴레 끊는 3단계
1단계: 알아차림 (Awareness) - 도피의 순간을 포착하라
- 가장 먼저 내가 언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도피하고 있는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도피 일지 작성:
- 중요한 일을 앞두고 갑자기 휴대폰을 집어 들었다면, 그 순간을 기록.
- “나는 지금 OOO라는 감정을 피하기 위해 OOO 행동을 하고 있다”라고 적는 것만으로도 큰 변화가 시작.
- 몸의 신호 관찰:
- 도피하고 싶은 충동이 들 때, 몸은 어떻게 반응하나?
- 심장이 빨리 뛰거나, 손에 땀이 나거나, 어깨가 굳는 등의 신호를 통해 자신의 회피 패턴을 인지할 수 있다. 2단계: 수용 (Acceptance) - 감정과 싸우지 말고 자리를 내어주라
- 도피의 근본 원인은 ‘불편한 감정을 느끼기 싫다’는 마음
- 감정을 없애려고 싸우는 대신, 그 감정이 내 안에 머물도록 허용하는 연습이 필요.
- 감정의 파도타기:
- 불안이나 두려움이 밀려올 때, 그것을 거대한 파도라고 상상해.
- 파도에 맞서 싸우면 지쳐 쓰러지지만, 파도의 흐름에 몸을 맡기면 자연스럽게 지나간다.
- 감정도 마찬가지
- 그 감정을 있는 그대로 느끼며, 최고조에 달했다가 서서히 가라앉는 것을 관찰.
- 불안이나 두려움이 밀려올 때, 그것을 거대한 파도라고 상상해.
- 감정에 이름 붙이기:
- “아, 지금 내 마음속에 ‘불안’이라는 손님이 찾아왔구나”처럼 감정을 객관화하고 이름을 붙여준다.
- 감정과 나 자신을 분리하면 감정에 압도당하지 않고 다룰 수 있는 힘이 생긴다. 3단계: 행동 (Action) - 가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라
- 도피에서 벗어나는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불편함을 참는 것이 아니라,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향해 나아가는 것입니다.
- 아주 작은 단계 시작:
- 발표 불안이 심하다면, 처음부터 수백 명 앞에서 발표할 필요가 없습니다.
- 가장 친한 친구 1명 앞에서 발표 내용을 읽어보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 ‘완벽한 성공’이 아닌 ‘작은 시도’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치 나침반 설정:
- 내가 도피 행동을 멈추고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
- 성장’, ‘배움’, ‘건강’, ‘의미 있는 관계’ 등 자신의 핵심 가치를 명확히 하세요.
- 이 가치들이 당신이 불편함을 뚫고 나아갈 때 강력한 동기가 되어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