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20:53
Tags: 경제학
인플레이션
- 화폐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 수준이 전반적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경제 현상이다.
-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은 수요 증가, 생산 비용 상승, 통화량 팽창, 그리고 미래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다.
-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조정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관리하며, 이는 개인의 저축, 투자, 부채 등 경제 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인플레이션은 ‘팽창’을 의미하는 라틴어 ‘inflatio’에서 유래했다.
- 무엇이 팽창한다는 것일까? 바로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 즉 통화량이다.
- 핵심은 ‘화폐 가치의 하락’ 과 ‘전반적인 물가 수준의 지속적인 상승’ 이라는 두 가지 현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
구분 | 핵심 원인 | 발생 상황 예시 |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총수요 증가 > 총공급 | 경기 호황, 정부 재정지출 확대, 금리 인하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생산 요소 비용 증가 | 국제 유가 급등,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환율 상승 |
기대 인플레이션 | 미래 물가 상승 기대 심리 | 임금-물가 상승의 악순환 (Wage-Price Spiral) |
유리한 쪽 (Winners) | 불리한 쪽 (Losers) |
---|---|
채무자 (빚을 진 사람) | 채권자 (돈을 빌려준 사람) |
빚의 실질 가치가 하락한다. (예: 10년 전 빌린 1억 원의 가치는 현재 1억 원보다 훨씬 크다) | 빌려준 돈의 실질 가치가 하락한다. |
실물 자산 보유자 | 현금·예금 보유자 |
부동산, 금, 원자재 등 실물 자산의 가격은 물가 상승에 따라 함께 오르는 경향이 있다. | 현금과 예금의 구매력이 떨어진다. |
정부 | 고정 소득자 (연금 수급자, 월급쟁이) |
세금 수입이 명목적으로 증가하고, 정부 부채의 실질 가치가 감소한다. | 소득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면 실질 소득이 감소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