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3:19

Tags: 경제학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제학의 상식을 뒤엎는 현상이다.
  • 1970년대 석유 파동을 계기로 처음 세상에 알려졌으며, 전통적인 경제 정책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딜레마를 안겨준다.
  • 개인의 구매력 하락과 실업 공포, 기업의 이윤 감소와 투자 위축을 유발하며 국가 경제 전체에 심각한 고통을 초래한다.

물가는 미친 듯이 오르는데(Inflation), 성장은 멈추고 실업률은 치솟는(Stagnation) 기현상.

정책 목표전통적 해법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의 부작용
물가 안정 (인플레이션 억제)기준금리 인상, 긴축 재정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고 투자가 위축된다. 이는 가뜩이나 심각한 경기 침체를 더욱 악화시킨다.
경기 부양 (실업률 감소)기준금리 인하, 확장 재정시중에 돈이 풀리면 수요가 자극되어 소비가 늘어난다. 이는 걷잡을 수 없이 치솟는 물가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된다.

역사적 해결책: 볼커 쇼크 (The Volcker Shock)

  • 1979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으로 임명된 폴 볼커(Paul Volcker)는 이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극약 처방을 내린다.
    • “스태그플레이션의 근본 원인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다.
    • 사람들이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믿는 한, 악순환은 절대 끊어지지 않는다.”
  • 그는 이 기대심리를 꺾기 위해 기준금리를 무자비하게 인상했다. 1981년, 미국의 기준금리는 무려 **20%**에 육박했다.
    • 이 결정의 대가는 혹독했다. 높은 금리를 견디지 못한 기업들이 줄도산했고, 실업률은 10%를 넘어 대공황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볼커 의장은 살해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하지만 그는 “단기적인 고통 없이는 장기적인 안정을 찾을 수 없다”며 정책을 밀어붙였다.
  •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강력한 긴축 정책은 사람들의 머릿속에 ‘정부가 물가를 잡을 의지가 확고하다’는 믿음을 심어주었다.
    •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꺾이자 임금-물가 악순환의 고리가 끊어졌고,
    • 2년여의 혹독한 경기 침체 끝에 미국 경제는 물가 안정을 되찾고 1980년대 장기 호황의 기반을 닦을 수 있었다.
  • ‘볼커 쇼크’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경기 침체라는 극심한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는 쓰라린 교훈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