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23:00

Tags:심리학

불안

  • 위험을 감지하고 미래에 대비하게 만드는 뇌의 정상적인 생존 신호
  • 미래의 잠재적 위험을 감지하고, 우리 몸과 마음이 그 위협에 대비하도록 하는 고도로 발달한 생존 메커니즘
  • 경보 시스템이 너무 민감해지거나 오작동할 때, 우리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불안장애를 경험
  • 수풀의 바스락
    • 별일 아니겠지 한입 식사
    • 사자일수도 모르니 도망치자(도피) OR 못피할거 같으니 싸울 준비하자(투쟁) 생존 번식
  • 두려움]:
    • 지금 눈앞에 닥친, 명확하고 실재하는 위협에 대한 반응입니다. 길에서 맹견을 마주쳤을 때 느끼는 감정이 바로 두려움입니다.
    • 위협이 사라지면 두려움도 곧바로 가라앉습니다.
  • 불안(Anxiety):
    •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불확실하고 잠재적인 위협에 대한 반응입니다.
    • ‘내일 발표를 망치면 어떡하지?’, ‘이러다 회사에서 잘리면 어떡하지?’ 와 같은 걱정이 불안입니다.
    • 위협의 대상이 모호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영역주요 신호설명
신체적 반응심계항진, 호흡 곤란, 발한, 떨림, 어지러움, 소화불량, 근육 긴장투쟁-도피 반응을 위해 몸이 에너지를 모으고 비상사태에 돌입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인지적 반응”만약 ~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 최악의 상황 상상, 집중력 저하, 마음이 텅 빈 느낌뇌가 잠재적 위협을 끊임없이 스캔하고 시뮬레이션하면서 발생하는 생각의 패턴입니다.
감정적 반응초조함, 두려움, 공포, 짜증, 무력감, 안절부절못함위험 앞에서 느끼는 원초적인 감정으로, 불확실한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낄 때 더욱 강해집니다.
행동적 반응불안한 상황 회피, 안절부절못하는 행동(다리 떨기 등), 과도한 확인, 타인에게 의존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을 피하거나, 안심을 얻기 위한 행동을 반복하면서 불안을 잠시 잠재우려는 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