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3:14
Tags: 호르몬
세로토닌
| 작용 위치 | 주요 역할 | 상세 내용 |
|---|---|---|
| 뇌 | 기분 및 감정 조절 | 안정감, 행복감을 느끼게 하고 불안감과 우울감을 줄여준다. 감정의 기복을 완화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
| 수면-각성 주기 조절 | 낮 동안 각성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밤에는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Melatonin)의 원료가 되어 숙면을 돕는다. | |
| 식욕 및 포만감 조절 | 식사 후 포만감을 느끼게 하여 식사를 멈추게 하는 신호를 보낸다. 특히 탄수화물 섭취에 대한 갈망을 조절한다. | |
| 학습 및 기억 |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 |
| 소화기관 | 장 운동 조절 | 장의 연동 운동(음식물을 아래로 내려보내는 움직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여 소화 속도를 조절한다. |
| 메스꺼움 및 구토 유발 | 몸에 해로운 음식이 들어오면 세로토닌 분비를 늘려 설사를 유발해 빠르게 배출시키거나, 뇌의 구토 중추를 자극해 구토를 일으킨다. | |
| 혈액 | 지혈 작용 | 상처가 나서 혈관이 손상되면 혈소판이 세로토닌을 방출해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 응고를 도와 출혈을 멈추게 한다. |
| 기타 | 뼈 건강, 성 기능, 체온 조절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미세하게 관여한다. | 세로토닌 수치가 뼈의 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성적 욕구와 기능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족할 때: 우울과 불안의 그림자
- 우울증 및 불안장애: 가장 대표적인 증상.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이 나고, 불안하며,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
- 강박장애(OCD): 특정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강박 증상과 관련이 깊다.
- 수면장애: 잠들기 어렵거나, 자더라도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자주 깨게 된다.
- 식욕 변화: 탄수화물이나 단 음식에 대한 갈망이 비정상적으로 커지거나, 반대로 식욕이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과도할 때: 세로토닌 증후군 (Serotonin Syndrome)
- 초기 증상: 불안, 초조, 안절부절못함, 동공 확장, 빠른 심박수, 발한
- 중증 증상: 고열, 고혈압, 근육 경련, 의식 혼란, 환각
- 위험성: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발작, 혼수상태,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관련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