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00:05

Tags: 심리학

처벌

에서의 처벌

  • 사회는 개인의 안전과 이익을 보장하기 위한 일종의 ‘계약’이다.

  • 우리는 야생의 무질서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의 자유 일부를 내려놓고, 그 대가로 법과 규칙이라는 공동의 안전망을 얻는다.

  • 처벌은 바로 이 ‘사회 계약’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

    • 누군가 규칙을 어기고 타인에게 해를 입혔을 때, 그 행위를 바로잡지 않으면 계약의 근간이 흔들립니다.
    • 피해자는 분노하고, 다른 구성원들은 불안에 떨며, 결국 사회 전체에 대한 신뢰가 무너집니다.
  • 처벌은 이처럼 깨어진 균형을 회복하고, 사회 계약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모두에게 보여주는 강력한 신호

심리학 에서의 처벌

  • 특정 행동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심리학적 기법
  • 스키너 상자 에서 조작적 조건형성 을 기반으로
    • 쥐나 비둘기가 레버를 누르는 행동을 할 때,
      • 먹이라는 보상]을 주면 그 행동이 증가하고,
      • 전기 충격과 같은 벌(결과)을 주면 행동이 감소하는 것을 증명
      • ‘처벌’은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강력한 원리
구분정적(+): 무엇인가를 제시부적(-): 무엇인가를 제거
강화: 행동 증가정적 강화: 유쾌한 자극 제시
(칭찬, 보상)
부적 강화: 혐오 자극 제거
(잔소리 중단, 두통약 복용)
처벌: 행동 감소정적 처벌: 혐오 자극 제시
(꾸중, 벌)
부적 처벌: 유쾌한 자극 제거
(장난감 압수, 외출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