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2:55

Tags: 사상

법치주의

  • 개인의 자의적인 지배가 아닌, 공정하고 공개된 률이 국가와 시민 모두를 지배해야 한다는 원칙
    • 법치주의는 통치자의 변덕이 아닌, 모두에게 평등하게 적용되는 법률이 국가 통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사상.
    • 이는 단순히 범죄자를 처벌하는 차원을 넘어, 국가 권력 그 자체를 법 아래에 두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는 민주주의의 핵심 기둥
핵심 원칙설명비유
법의 지배 (Supremacy of Law)국가의 모든 권력(대통령, 국회의원, 판사 등)과 모든 시민은 법 위에 존재할 수 없으며, 법의 구속을 받는다.게임의 규칙은 모든 플레이어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며, 심판도 규칙을 따라야 한다.
법 앞의 평등모든 사람은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관계없이 법 앞에서 동등하게 대우받는다. 법은 특정인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적용되지 않는다.저울은 누가 올려놓든 무게에 따라 정확하게 수평을 맞춘다.
권력 분립국가 권력을 입법부(법 제정), 행정부(법 집행), 사법부(법 적용 및 판단)로 나누어 서로 견제하고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삼각형의 세 꼭짓점이 서로를 지탱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는 것과 같다.
적법절차의 원칙법을 집행하고 적용하는 과정은 반드시 법률에 정해진 공정하고 정당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 결과를 위해 절차를 무시할 수 없다.요리의 맛도 중요하지만, 위생적이고 안전한 조리 과정을 거쳐야만 완성된 음식이라 할 수 있다.
법적 안정성 및 예측 가능성법은 명확하고, 미리 공포되어야 하며, 너무 자주 바뀌지 않아야 한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자신의 행동이 어떤 법적 결과를 낳을지 예측할 수 있다.목적지로 가는 길이 명확한 표지판으로 안내되어 있어, 누구나 안심하고 길을 떠날 수 있다.
구분법치주의 (Rule of Law)법에 의한 지배 (Rule by Law)
법의 위치지배자(정부) 위에 법이 있다. 즉, 정부도 법을 지켜야 한다.지배자(정부) 아래에 법이 있다. 즉, 법은 통치의 도구일 뿐이다.
목적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권력을 통제하는 것이 목적이다.국민을 통제하고, 지배자의 권력을 정당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핵심 가치정의, 평등, 인권 등 실질적 가치를 중시한다.효율성, 질서, 통제 등 형식적, 도구적 가치를 중시한다.
예시대한민국, 미국, 독일 등 대부분의 자유 민주주의 국가현대 중국, 과거 나치 독일 등 권위주의 및 전체주의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