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2:44
Tags: 호르몬
오피오이드
-
양귀비에서 유래하거나 합성된 강력한 마약성 진통제
-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인류의 오랜 숙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하고 발전한 물질
-
뇌의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여 강력한 진통 효과와 함께 행복감을 유발하지만, 이 과정에서 심각한 의존성, 중독, 과다복용의 위험을 초래한다.
-
우리 몸, 특히 뇌, 척수, 위장관 등에는 ‘오피오이드 수용체(Opioid Receptor)‘라는 특별한 단백질이 존재한다.
- 이것은 마치 ‘자물쇠’와 같다.
- 평소 이 자물쇠는 우리 몸이 스스로 만들어내는 엔도르핀]과 같은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타이드에 의해 조금씩 열리며 통증을 조절하고 기분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 엔도르핀은 격렬한 운동 후 상쾌함을 느끼게 하는 ‘러너스 하이(Runner’s High)‘의 주역이기도 하다.
오피오이드라는 만능 열쇠
- 모르핀과 같은 외부 오피오이드 약물은 이 엔도르핀과 화학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
- 그래서 몸 안으로 들어오면 엔도르핀보다 훨씬 강력하고 효율적으로 오피오이드 수용체라는 ‘자물쇠’에 결합하는 ‘만능 열쇠’ 역할을 한다. 이 열쇠가 자물쇠를 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핵심적인 일이 벌어진다.
- 통증 신호 차단:
- 척수와 뇌로 전달되던 통증 신호의 흐름을 강력하게 억제한다.
- 마치 통증이 오는 길목을 차단하는 것과 같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극심한 고통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 도파민 분출:
종류 | 설명 | 대표적인 약물 |
---|---|---|
천연 아편 알칼로이드 | 양귀비에서 직접 추출한 성분. | 모르핀(Morphine), 코데인(Codeine) |
반합성 오피오이드 | 천연 성분의 화학 구조를 일부 변형하여 만듦. | 헤로인(Heroin), 옥시코돈(Oxycodone), 하이드로코돈(Hydrocodone) |
합성 오피오이드 | 실험실에서 화학적으로 완전히 합성하여 만듦. | 펜타닐(Fentanyl), 메타돈(Methadone), 트라마돌(Tramado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