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10:00

Tags: 경제학

가격

가격을 이루는 3가지 기둥: 원가, 가치, 경쟁

1. 원가(Cost): 가격의 최저선

  • 원가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데 들어가는 모든 비용의 합이다. 이는 가격이 내려갈 수 있는 가장 낮은 선, 즉 ‘마지노선’을 결정.
    • 고정비(Fixed Costs): 생산량이나 판매량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 (예: 임대료, 직원 급여, 감가상각비)
    • 변동비(Variable Costs): 생산량이나 판매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비용 (예: 원자재 비용, 생산직 인건비, 포장비)
  • **원가 가산 가격 책정(Cost-Plus Pricing)**은 총원가에 원하는 이익(마진)을 더하는 방식

2. 가치(Value): 가격의 최고선

  • 가치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얻는다고 ‘인식하는’ 혜택의 총합이다.
    • 이는 기능적 만족감, 시간 절약, 정서적 만족감,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고객이 기꺼이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금액, 즉 가격의 ‘천장’을 결정하는 요소다.
  • **가치 기반 가격 책정(Value-Based Pricing)**은 원가가 아닌 고객이 인식하는 가치에 초점을 맞춘

3. 경쟁(Competition): 가격의 현실점

  • 시장에서 활동하는 경쟁자들의 가격은 우리 제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외부 요인이다.
  • **경쟁 기반 가격 책정(Competition-Based Pricing)**은 경쟁사의 가격을 기준으로 자사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 시장 평균 가격을 따르거나(Parity Pricing), 더 높게(Premium Pricing), 혹은 더 낮게(Discount Pricing) 설정할 수 있다.
    • 시장 점유율 유지가 중요하거나 제품 간 차별성이 크지 않을 때 주로 사용된다.
전략 유형설명주로 사용되는 상황예시
스키밍 가격 (Price Skimming)신제품 출시 초기 고가 정책으로 이익을 극대화한 후, 점차 가격을 인하하는 전략기술 혁신이 빠른 시장,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진 신제품애플의 아이폰, 새로운 비디오 게임 콘솔
침투 가격 (Penetration Pricing)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초기 가격을 매우 낮게 설정하는 전략경쟁이 치열한 시장, 대량 생산으로 원가 절감이 가능한 제품새로운 OTT 서비스의 초기 할인, 저가 항공사
동적 가격 (Dynamic Pricing)수요와 공급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격을 변동시키는 전략. 유연 가격 책정이라고도 함수요 변동이 큰 산업, 재고 관리가 중요한 서비스항공권, 호텔 숙박료, 차량 공유 서비스(우버)
심리적 가격 (Psychological Pricing)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하여 구매를 유도하는 가격 책정 기법소매업, 소비재 시장 전반9,900원(단수 가격), “정상가 5만원 할인가 3만5천원” (준거 가격)
명성 가격 (Prestige Pricing)높은 가격을 통해 제품의 고품질과 명성을 강조하는 전략. 가격이 품질의 신호가 됨명품, 고급 자동차,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롤렉스 시계, 벤츠 S클래스
묶음 가격 (Bundle Pricing)여러 제품이나 서비스를 묶어 개별적으로 구매할 때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전략보완재 관계의 제품, 재고 소진이 필요한 상품패스트푸드 세트 메뉴, 소프트웨어 패키지
부분 유료화 (Freemium)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고, 고급 기능이나 추가 서비스에 대해서만 요금을 부과하는 전략소프트웨어, 모바일 앱, 온라인 서비스드롭박스, 스포티파이, 링크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