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8:18
Tags: 경제학
원가 (Cost)
| 분류 기준 | 종류 | 설명 | 예시 |
|---|---|---|---|
| 추적 가능성 | 직접비 |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 가능 | 자동차 타이어, 조립 라인 작업자 임금 |
| 간접비 | 여러 제품에 공통으로 발생 | 공장 전기료, 생산 관리자 급여 | |
| 원가 행태 | 변동비 | 조업도에 비례하여 총액 변동 | 직접재료비, 판매수수료 |
| 고정비 | 조업도와 무관하게 총액 일정 | 공장 임차료, 재산세 | |
| 기능 | 제조원가 | 제품 생산과 직접 관련된 원가 | 재료비, 노무비, 공장 관련 비용 |
| 비제조원가 | 판매 및 일반 관리 활동 원가 | 광고비, 영업사원 급여, 본사 임차료 |
원가의 활용
1. 가격 결정 (Pricing Decisions)
판매가격 = 원가 + 목표 이익공식을 통해 최소한 받아야 하는 가격의 기준선을 설정(원가 가산 가격 결정).- 실제 가격은 시장의 경쟁 상황, 수요 등을 고려해 결정되지만, 원가는 가격 정책의 출발점이다.
2. 성과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 표준원가(Standard Cost)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제 발생한 원가와 비교함으로써 성과를 평가할 수 있다.
- 표준원가란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환경에서 달성 가능한 목표 원가를 의미한다.
- 실제 원가가 표준원가보다 크면 ‘불리한 차이’,
- 작으면 ‘유리한 차이’로 분석하여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 파악, 개선 활동의 근거로 삼는다.
3. 경영 의사결정 (Managerial Decision-Making)
- 손익분기점(BEP) 분석:
- 고정비와 변동비 정보를 이용하여, 이익도 손실도 없는 ‘0’이 되는 매출액 또는 판매량이 얼마인지 분석한다.
- 이는 목표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매출액 설정, 신규 사업의 타당성 검토 등에 필수적이다.
- 특별 주문 수락/거절:
- 현재 생산 능력에 여유가 있을 때, 정상가보다 낮은 가격의 대량 주문이 들어온 경우 이를 수락할지 결정한다.
- 고정비는 이미 발생했으므로 무시하고, 주문으로 인해 추가로 발생하는 ‘증분수익’과 ‘증분원가(변동비)‘만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내린다.
- 부품의 자가제조/외부구입(Make-or-Buy) 결정:
- 특정 부품을 직접 만드는 것이 유리한지, 외부에서 사 오는 것이 유리한지 판단한다.
- 이때도 두 대안 사이에서 차이가 나는 원가, 즉 **관련원가(Relevant Cost)**만을 비교하여 결정한다.
4. 재무 보고 (Financial Reporting)
- 기업 외부의 투자자나 채권자에게 보여주는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가 된다.
- 생산된 제품 중 판매된 것의 원가는 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가 되고,
- 판매되지 않고 남은 것의 원가는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 가액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