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3:13

Tags: 심리학 경영학

인센티브

구분 기준유형설명대표적인 예
결과의 성격긍정적 인센티브행동을 했을 때 얻게 되는 긍정적인 보상.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보너스, 칭찬, 상장, 승진
부정적 인센티브특정 행동을 하지 않았을 때 받게 되는 처벌이나 불이익. 특정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하도록 유도한다.벌금, 해고, 비난, 성적 하락
보상의 출처외재적 인센티브행동의 결과로 외부에서 주어지는 물질적, 사회적 보상.돈, 음식, 점수, 타인의 인정
내재적 인센티브행동 그 자체에서 오는 만족감, 성취감, 즐거움.취미 활동, 지적 호기심 충족, 자아실현
  1. 내재적 동기가 부족한 영역에 활용하라:
    • 아무도 즐거워서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거나 지루한 서류 작업을 하지는 않는다.
    • 이처럼 내재적 동기가 생기기 어려운, 단순하고 반복적인 과업에는 외재적 인센티브가 매우 효과적이다.
  2. ‘성과’가 아닌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라:
    • 보상을 줄 때, 결과물의 품질이나 성과에 대해서만 보상하면 사람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도전을 기피하게 될 수 있다.
    • 대신,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노력, 발전, 끈기를 칭찬하고 격려하는 방식은 내재적 동기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할 수 있다.
    • 이는 ‘성장 마인드셋’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3. 예상치 못한 보상을 제공하라:
    • 과잉 정당화 효과는 주로 ‘이 일을 하면 보상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 따라서 보상을 정기적으로 주기보다는, 예고 없이 깜짝 선물처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예상치 못한 칭찬이나 보상은 행동의 원인을 외부 탓으로 돌리지 않게 하여 내재적 동기를 보호한다.
  4. 물질적 보상과 언어적 보상을 균형 있게 사용하라:
    • 돈이나 상품 같은 물질적 보상은 통제 수단으로 인식되기 쉬워 내재적 동기를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
    • 반면, 진심 어린 칭찬이나 인정과 같은 언어적 보상은 개인의 유능감을 높여주어 내재적 동기를 오히려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