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22:21

Tags: 경영학 역사

동맹

  • 생존과 번영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둘 이상의 국가나 집단이 힘을 합치는 전략적 약속
  • 군사, 경제, 정치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조약을 통해 구성원의 의무권리를 명시
  • 동맹은 외부 위협을 억제하고 국제적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순기능이 있지만, 의도치 않은 분쟁에 휘말리거나 자율성을 잃을 수 있는 위험도 내포.

만들어지는 이유

  • 혼자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위협에 맞서고 혼자서 이루기 어려운 이익을 함께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짐
  • 위협의 공유 (Shared Threat)
    • 동맹이 결성되는 가장 흔하고 강력한 동기는 ‘공동의 적’ 또는 ‘공동의 위협’
      • 특정 국가가 군사적으로 팽창하며 주변국을 위협할 때, 위협을 느낀 국가들은 힘을 합쳐 그에 맞서려고 합니다.
      • 이는 ‘세력 균형(Balance of Power)’ 이론의 핵심입니다
    • 혼자의 힘으로는 적을 막을 수 없으니, 여러 국가가 힘을 합쳐 위협 세력과 힘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
  • 이익의 증대 (Increased Benefits)
  • 이념과 가치의 공유 (Shared Ideology and Values)
종류주요 목적핵심 특징대표적인 예시
군사 동맹공동 방위, 안보 유지상호 방위 조항(하나가 공격받으면 공동 대응), 군사적 협력NATO, 한미상호방위조약
경제 동맹무역 증진, 경제 성장관세 철폐, 공동 시장 형성, 단일 통화유럽 연합(EU), 아세안(ASEAN)
정치 동맹외교적 지지, 국제적 영향력 강화국제 무대에서 공동 입장 표명, 외교 정책 조율비동맹 운동(NAM)
이슈 기반 연합특정 문제 공동 대응환경, 테러, 보건 등 특정 이슈에 대한 협력체기후 변화에 관한 파리 협정 참여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