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2:52

Tags: 경제학

유동성

  • 자산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제값을 받고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기업의 단기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회계적 유동성’과
  • 자산 시장의 거래 활성도를 나타내는 ‘시장 유동성’으로 나뉩니다.

1) 회계적 유동성 (Accounting Liquidity)

  • 기업이 단기 부채(1년 이내에 갚아야 할 빚)를 상환할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 기업에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쳤을 때, 보유 자산을 얼마나 빨리 현금화해서 빚을 갚고 버틸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 주로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통해 분석하며, 대표적인 측정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계산식의미해석
유동비율 (Current Ratio)유동자산 / 유동부채가장 기본적인 유동성 지표. 1년 내 현금화 가능한 자산으로 1년 내 갚아야 할 빚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줌.일반적으로 200% 이상이면 안정적, 100% 미만이면 위험 신호로 간주.
당좌비율 (Quick Ratio)(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유동자산 중에서도 잘 팔리지 않을 수 있는 재고자산을 제외한 지표. 유동비율보다 보수적인 척도.일반적으로 100% 이상이면 안정적으로 평가. ‘산성시험비율’이라고도 불림.
현금비율 (Cash Ratio)(현금 + 현금성자산) / 유동부채가장 강력한 유동성 지표. 당장 동원 가능한 현금만으로 단기 부채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줌.기업이 극단적인 위기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는 최후의 보루를 나타냄.

2) 시장 유동성 (Market Liquidity)

  • 주식, 채권, 부동산 등 특정 자산이 시장에서 얼마나 원활하게 거래되는지를 나타냅니다.

  • 시장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것은 그 자산을 사고 파는 사람이 많아서,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큰 가격 변동 없이 거래를 체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거래량 (Trading Volume):

    • 특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수량의 자산이 거래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유동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시장 깊이 (Market Depth):

    •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매수 주문과 매도 주문의 양을 의미합니다.
    • 호가창에 촘촘하게 매수/매도 주문이 쌓여 있다면, 대량의 주문을 체결해도 가격이 크게 흔들리지 않으므로 시장 깊이가 깊고 유동성이 풍부하다고 말합니다.
  • 매수-매도 호가 스프레드 (Bid-Ask Spread):

    • 자산을 사려는 사람(매수자)이 제시하는 가장 높은 가격(Bid)과 팔려는 사람(매도자)이 제시하는 가장 낮은 가격(Ask)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 이 스프레드가 좁을수록 매수자와 매도자의 눈높이가 비슷하다는 뜻이며, 거래 비용이 적고 유동성이 높다는 신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