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00:03
Tags: 논리학
모순(矛盾)
-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 일 수 있다는 논리학의 기본원리
- 두가지 사실이나 주장이 동시에 성립하려는 상태
- ‘어떤 방패든 뚫는 창’과 ‘어떤 창으로도 뚫리지 않는 방패’는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
- 논리적 모순 (Logical Contradiction): 질서와 합리의 렌즈
- ‘P이면서 동시에 P가 아니다 (P ∧ ¬P)’
- 변증법적 모순 (Dialectical Contradiction): 변화와 생성의 렌즈
- 하나의 대상이나 체계 내에 내재된 대립적인 두 힘 또는 경향을 의미.
- 이 두 힘은 서로 충돌하고 갈등하지만, 이 과정 자체가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
- 정(正, Thesis): 기존에 존재하는 상태나 주장 (예: 봉건 사회)
- 반(反, Antithesis): 기존 상태의 내적 모순에서 발생하는 대립적 힘 (예: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
- 합(合, Synthesis): 정과 반의 투쟁을 통해 두 요소를 모두 극복하고 더 높은 차원으로 발전한 새로운 상태 (예: 자본주의 사회)
- 하나의 대상이나 체계 내에 내재된 대립적인 두 힘 또는 경향을 의미.
- 역설 (Paradox)
- 겉보기에는 명백한 모순처럼 보이지만, 깊이 파고들면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거나 우리의 상식적인 가정이 틀렸음을 보여주는 문장이나 상황
- 거짓말쟁이 역설: “나는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다.” (이 말이 참이라면 거짓이고, 거짓이라면 참이 됩니다.)
- 제논의 역설: “빠른 아킬레스는 거북이를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다.” (아킬레스가 거북이의 출발점에 도달하면, 거북이는 그새 조금 앞으로 나아가 있기 때문입니다.)
- 소크라테스의 역설: “내가 아는 유일한 것은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이다.”
-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 심리학에서 말하는 모순, 한 사람이 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이상의 생각, 믿음, 가치를 동시에 가질 때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
- 우리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바꾸거나(금연),
- 자신의 믿음을 왜곡하여(“담배는 스트레스 해소에 좋아”)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경향을 보임
- 5. 불일치 회피 경향(Inconsistency-Avoidance Tendency)
- 심리학에서 말하는 모순, 한 사람이 서로 모순되는 두 가지 이상의 생각, 믿음, 가치를 동시에 가질 때 발생하는 정신적 불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