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1 00:34

Tags: 논리학

역설 (Paradox)

  • 겉보기에는 명백한 모순처럼 보이지만, 깊이 파고들면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거나 우리의 상식적인 가정이 틀렸음을 보여주는 문장이나 상황
  • 명백히 인 전제에서 출발해 논리적으로 타당해 보이는 추론을 거쳤음에도, 모순되거나 받아들이기 힘든 결론에 이르는 현상

역설을 만드는 세 가지 요소

  1. 전제 (Premise): “운동은 가능하다”, “집합은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처럼 누구나 쉽게 동의할 수 있는, 명백하고 참처럼 보이는 가정에서 시작합니다.
  2. 추론 (Reasoning): 전제로부터 결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형식 논리학적으로 타당하고 빈틈없어 보입니다.
  3. 결론 (Conclusion): 하지만 최종적으로 도달한 결론은 자기 모순적이거나(A이면서 동시에 A가 아니다), 상식적으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입니다.
유형설명대표적인 예
진실 역설 (Veridical Paradox)결론이 상식이나 직관에 어긋나서 황당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참인 경우입니다. 우리의 직관이 틀렸음을 보여줍니다.몬티 홀 문제: 3개의 문 뒤에 자동차 1대와 염소 2마리가 있다. 당신이 문 하나를 선택한 뒤, 진행자가 남은 두 문 중 염소가 있는 문을 열어 보여준다. 그리고 당신에게 선택을 바꿀 기회를 준다. 이때 선택을 바꾸는 것이 자동차를 얻을 확률을 1/3에서 2/3로 높여준다.
허위 역설 (Falsidical Paradox)결론이 명백히 거짓이며, 그 추론 과정 속에 교묘하게 숨겨진 논리적 오류가 원인인 경우입니다.1=2 증명: a=b 라고 가정하고 시작하여 양변에 곱하고 빼는 등의 연산을 거치다가, 어느 순간 ‘0으로 나누는’ 치명적인 오류를 범해 1=2라는 거짓 결론을 이끌어내는 수학 퍼즐.
이율배반 (Antinomy)진정한 의미의 역설로, 받아들여진 추론 방식을 통해 자기 모순적인 결론에 도달하지만 그 해결책이 쉽게 보이지 않는 경우입니다. 기존의 지식 체계나 개념의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합니다.러셀의 역설, 거짓말쟁이 역설: 이 역설들은 단순히 직관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논리, 언어, 집합 개념 자체에 내재된 깊은 모순을 드러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