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20:37

Tags: 영화

대부

인물배우소개역할 및 성격
돈 비토 코를레오네말론 브란도코를레오네 가문의 수장. ‘대부(Godfather)‘로 불린다.신중하고 현명하며, 가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폭력을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하지만, 한 번 결심하면 누구보다 냉혹하다. 그의 카리스마는 가문을 하나로 묶는 구심점이다.
마이클 코를레오네알 파치노비토의 막내아들. 전쟁 영웅으로 마피아 사업과 거리를 둔다.총명하고 냉철한 이상주의자. 가족을 지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조직에 발을 들였지만, 점차 아버지보다 더 냉혹하고 무자비한 ‘대부’로 변모해가는 비극적 인물.
소니 코를레오네제임스 칸비토의 맏아들. 다혈질이며 충동적이다.아버지를 존경하지만, 성격은 정반대. 불같은 성격 때문에 적들의 함정에 쉽게 빠지며, 이는 가문을 위기에 빠뜨리는 원인이 된다.
프레도 코를레오네존 카제일비토의 둘째 아들. 유약하고 인정받고 싶어 한다.형제들 사이에서 항상 겉도는 인물. 인정 욕구가 강해 판단력이 흐려지고, 이는 훗날 가문의 비극을 초래하는 씨앗이 된다.
톰 헤이건로버트 듀발코를레오네 가문의 양아들이자 고문 변호사(콘실리에리).아일랜드-독일계로 이탈리아 혈통이 아니지만, 누구보다 코를레오네 가문에 충성한다. 이성적이고 침착하게 법률 자문과 협상을 담당한다.
케이 애덤스다이앤 키튼마이클의 연인. 평범한 미국인 여성이다.마이클의 순수했던 시절을 상징하는 인물. 마이클이 변해가는 모습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보며 고통받는다. 그녀의 시선은 관객의 시선과 같다.

시선 1: 아메리칸 드림의 어두운 이면

  • 비토 코를레오네는 시칠리아에서 빈손으로 미국에 건너와 거대한 제국을 건설한 인물입니다.
  • 이는 표면적으로 ‘아메리칸 드림’의 성공 신화처럼 보입니다.
  • 하지만 그 성공은 합법적인 세상의 규칙이 아닌, 폭력과 암흑가의 논리로 쌓아 올린 것입니다.
  •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이민자들이 자신들만의 ‘정의’와 ‘질서’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미국의 자본주의가 가진 냉혹함과 폭력성을 고발하는 은유이기도 합니다.

시선 2: 가족과 폭력의 기묘한 동거

  • “가족을 위해 시간을 쓰지 않는 남자는 진짜 남자가 아니다.” 비토의 이 대사는 영화의 핵심 주제를 관통합니다.
  • 코를레오네 가문에게 ‘패밀리’는 사업 조직이자 동시에 피로 맺어진 운명 공동체입니다.
  • 그들은 가족의 명예와 안전을 지키기 위해 서슴없이 폭력을 사용합니다.
  • 결혼식, 세례식 등 성스러운 가족 행사와 잔혹한 암살이 교차 편집되는 장면들은 ‘가족’이라는 신성한 가치가 어떻게 폭력과 결합될 수 있는지, 그 섬뜩한 모순을 보여줍니다.

시선 3: 이상주의자의 타락, 마이클의 비극

  • ‘대부’는 마이클 코를레오네라는 한 남자가 타락해가는 과정을 그린 비극입니다.
  • 그는 처음에는 “그게 우리 아빠지, 내가 아니야”라며 가족의 사업과 선을 긋던 전쟁 영웅이었습니다.
  • 하지만 아버지가 총에 맞고 가족이 위기에 처하자, 그는 ‘가족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스스로 어둠 속으로 걸어 들어갑니다.
  • 결국 그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영혼을 파괴하고, 사랑하는 사람들로부터 고립되는 비극적 운명을 맞이하게 됩니다.

빛과 어둠의 미학

  • ‘어둠의 왕자(The Prince of Darkness)‘라는 별명을 가진 윌리스는 인물의 얼굴에 그림자가 깊게 지도록 위에서 직접 조명을 비추는 ‘탑 라이팅(Top-lighting)’ 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습니다.
  • 특히 돈 비토의 서재 장면에서 그의 눈은 거의 보이지 않는데, 이는 그의 속을 알 수 없는 내면과 그가 속한 세계의 비밀스러움, 그리고 도덕적 모호함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 이 어두운 조명은 인물들의 이중적인 삶을 상징합니다.
    • 밖으로는 평범한 사업가, 자상한 아버지처럼 보이지만, 그들의 내면과 실제 사업은 어둠에 감춰져 있습니다.
    • 밝고 화사한 결혼식 장면과 어둡고 비밀스러운 서재 장면의 극명한 대비는 그들이 살아가는 두 세계의 분열을 보여줍니다.
  • 파라마운트 제작진은 화면이 너무 어둡다며 불평했지만, 이 독창적인 촬영 기법은 ‘대부’를 단순한 영화에서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