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22:31

Tags: 심리학 경제학

회피

심리학 에서 회피

  • 고통스러운 감정이나 상황을 피하려는 자연스러운 본능

  • 단기적 안도감을 위해 장기적 문제 악화시키는 악순환 만들 수 있음

  • “혹시 모르니 확인해보자”라고 생각하는 개체보다 “위험하다, 일단 피하자!”라고 반응하는 개체가 살아남을 확률이 훨씬 높았다.

    • 불안,공포 라는 감정위험 신 보내는 경보 시스템
    • 회피는 해당 경보에 따라 실제 행동으로 몸을 지키는 생존 전략
    • 현대엔 그정도의 위험 상황은 거의 없지만 경보시스템과 회피라는 본능은 여전히 남아있음
  • 행동적 회피 (Behavioral Avoidance):

    • 불안이나 불편함을 유발하는 특정 사람, 장소, 상황, 활동을 의도적으로 피하는 모든 행동을 포함
    • 즉각적으로 불안을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강화 효과 지님 반복될 가능성 높음
  • 인지적 회피 (Cognitive Avoidance)

    • 불안이나 고통을 유발하는 생각, 기억, 심상 등을 머릿속에서 밀어내려는 내적인 시도
    • 눈에 안보여서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많음
    • 생각을 억압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그 생각을 더 자주 떠오르게 만드는 ‘백곰 효과(White Bear Effect)‘를 일으킨다
      • 생각 억압: “그 생각을 하면 안 돼”, “잊어버리자”라고 되뇌며 괴로운 기억이나 걱정을 억지로 누르려고 한다.
      • 주의 분산: 불편한 생각이 떠오를 때마다 의도적으로 TV를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일에 몰두하며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린다.
      • 걱정하기: 역설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걱정’ 자체도 더 깊은 두려움을 피하기 위한 인지적 회피 전략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에 걸리면 어떡하지?‘라는 막연한 걱정에 빠져있는 것은, 실제로 암 검사를 받고 결과를 마주하는 더 큰 두려움을 회피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 정서적 회피 (Emotional Avoidance)

    • 슬픔, 분노, 불안, 죄책감 등 특정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를 피하려는 시도.
    • 감정을 느끼는 것이 나약하거나 위험하다고 여겨, 감각을 무디게 만들거나 다른 방식으로 감정을 회피
      • 감정 억누르기: 슬픈 영화를 보고 눈물이 나려고 할 때 꾹 참거나, 화가 나는 상황에서 아무렇지 않은 척한다.
      • 물질 남용: 괴로운 감정을 잊기 위해 술이나 약물에 의존한다.
      • 폭식: 공허함이나 슬픔을 느끼지 않기 위해 배가 부른데도 계속 먹는다.
회피 전략단기적 이익 (보상)장기적 손실 (결과)
행동적 회피불안감의 즉각적인 감소, 안도감두려움 강화, 자신감 하락, 삶의 반경 축소, 기회 상실
인지적 회피일시적으로 불편한 생각에서 벗어남생각의 역설적 증가(백곰 효과), 정신적 에너지 소모
정서적 회피고통스러운 감정을 잠시 느끼지 않음감정 조절 능력 저하, 문제 해결 기회 상실, 중독 문제 발생

경제학 에서 회피

  • 불확실성이나 손실 가능성을 피하려는 인간의 심리적 경향을 설명하는 개념
  • 대표적으로 ‘위험 회피’와 ‘손실 회피’가 있으며, 이는 각각 기대효용이론전망이론을 통해 이론화
구분위험 회피 (Risk Aversion)손실 회피 (Loss Aversion)
이론 기반기대효용이론전망이론
판단 기준최종 자산의 총량준거점 대비 이익/손실
관심 대상결과의 ‘불확실성’결과의 ‘방향성’ (이익 vs 손실)
핵심 원리부의 한계효용 체감 (오목한 효용 함수)손실의 고통이 더 큼 (가치 함수의 꺾임)
설명 예시왜 보험에 가입하는가?왜 손절매를 못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