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22:16
기대효용이론(Expected Utility Theory)
-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이 어떻게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적 모델
- 결과의 기댓값이 아닌, 각 결과가 주는 ‘효용(만족감)‘의 기댓값을 극대화하는 선택을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
- 사람들은 돈의 절대적인 액수(가치)가 아니라, 그 돈이 가져다주는 주관적인 **‘만족감’ 즉, 효용(Utility)**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이다.
- 그리고 돈이 많아질수록 추가적인 돈 1달러가 주는 효용은 점점 줄어든다(한계효용 체감의 법칙).
-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망이론 등의 이론 등장
기대효용이론의 핵심 구조
효용 함수 (Utility Function)
- 재산(x)의 양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만족감(효용, u)의 수준을 보여주는 함수, 즉
u(x)
로 표현된다. - 사람마다 다르며, 특히 그 형태에 따라 위험에 대한 개인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위험에 대한 태도 (Attitudes Toward Risk)
- 효용 함수의 모양은 그 사람이 위험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말해준다.
종류 | 효용 함수 형태 | 한계효용 | 특징 |
---|---|---|---|
위험 회피형 (Risk Averse) | 오목한(Concave) 함수 | 체감 | 확실한 결과를 불확실한 결과보다 선호. 대부분의 사람이 여기에 해당하며, 보험에 가입하는 행동이 대표적인 예시다. |
위험 중립형 (Risk Neutral) | 선형(Linear) 함수 | 일정 | 기댓값과 기대효용이 동일. 오직 기댓값의 크기만으로 판단한다. |
위험 선호형 (Risk Seeking) | 볼록한(Convex) 함수 | 체증 | 불확실한 결과를 확실한 결과보다 선호. 더 큰 보상을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며, 도박을 즐기는 행동이 예시다. |
기대효용 (Expected Utility)
- 기대효용은 각 결과가 발생할 확률(p)과 그 결과로부터 얻는 효용(u(x))을 곱한 값의 총합이다.
EU = Σ [ p_i * u(x_i) ]
- 합리적인 인간은 여러 대안 중 자신의 기대효용을 가장 극대화하는 대안을 선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