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23:05
Tags: 경제학
화폐
1. 교환의 매개 (Medium of Exchange)
- 화폐는 사람들 사이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할 때 중간 다리 역할을 합니다
- 특정 상품에만 사용할 수 있는 교환권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가 받아주기로 약속했기 때문에 무엇으로든 바꿀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가집니다.
2. 가치의 척도 (Unit of Account)
- 화폐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하는 ‘자’ 역할을 합니다
- ‘원’이라는 단위가 있다면 자동차는 3,000만 원, 닭은 2만 원, 쌀 한 가마니는 20만 원처럼 명확하고 쉽게 가치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3. 가치의 저장 (Store of Value)
- 화폐는 우리가 벌어들인 가치(구매력)를 미래로 옮겨주는 ‘타임캡슐’입니다.
- 당장 먹지 않을 생선이나 과일은 시간이 지나면 썩어버리지만, 그것을 팔아 얻은 돈은 오랫동안 보관했다가 나중에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물론,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돈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할 수 있다는 한계도 존재합니다.
종류 | 설명 | 예시 | 장점 | 단점 |
---|---|---|---|---|
상품화폐 (Commodity Money) | 그 자체로 사용 가치를 지닌 물건이 화폐로 쓰임. | 소금, 조개껍데기, 쌀, 가축, 금, 은 | 물건 자체에 가치가 있어 신뢰도가 높음 | 부패하거나, 무겁고, 나누기 어려워 휴대와 보관이 불편 |
대표화폐 (Representative Money) | 금이나 은과 같은 실물 자산에 대한 ‘보관증’ 역할을 하는 화폐. | 금 태환 지폐 (은행에 가져가면 정해진 양의 금으로 바꿔주는 종이 증서) | 상품화폐보다 훨씬 가볍고 휴대가 간편 | 발행량이 실물 자산(금)의 보유량에 묶여 경제 성장에 제약이 될 수 있음 |
명목화폐 (Fiat Money) | 그 자체로는 가치가 없는 종이나 금속이지만, 정부가 법으로 가치를 보증하고 통용시키는 화폐. | 대한민국 원(KRW), 미국 달러(USD), 유로(EUR) 등 현대의 모든 화폐 | 정부가 경제 상황에 맞춰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어 유연한 정책 운용 가능 |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휴지 조각이 될 위험 존재, 인플레이션에 취약 |
돈은 어디서 오는가? - 화폐의 창조 메커니즘
-
중앙은행의 역할: 씨앗을 뿌리다
-
시중은행의 역할: 씨앗을 키우다 (신용창조,Credit Creation)
- 우리가 사용하는 돈의 대부분은 사실 중앙은행이 찍어낸 돈이 아니라,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이 ‘대출’을 해주는 과정에서 만들어
- 은행은 예금을 기반으로 새로운 돈을 창조
- 간단한 예시:
- A가 은행에 100만 원을 예금합니다.
- 은행은 지급준비율(예금자가 돈을 찾아갈 것에 대비해 은행이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돈의 비율, 약 10%라고 가정)인 10만 원을 남기고, 90만 원을 B에게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 이때 은행은 A의 예금 100만 원에서 90만 원을 꺼내 주는 것이 아니라, B의 계좌에 숫자로 90만 원을 새로 찍어줍니다.
- 이제 경제 전체의 돈은 A의 예금 100만 원 + B의 대출로 생긴 새로운 예금 90만 원 = 총 190만 원이 됩니다.
- B가 이 돈으로 C에게 물건값을 지불하면, C는 그 90만 원을 다시 은행에 예금하고, 은행은 또 그중 일부를 남기고 D에게 대출해 줄 수 있습니다.
-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중앙은행이 뿌린 씨앗(본원통화)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돈(신용통화)이 경제 전체에 유통되는 것입니다.
- 즉,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출이 곧 돈의 창조’ 인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