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2:36

Tags: 경제학

선물

경제학에서의 선물 (Futures)

  • 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기로 약속하는 표준화된 계약입니다.

  • 본래 농산물 등 실물 자산의 가격 변동 위험회피]할 목적으로 탄생했으나, 현재는 차익을 노리는 투기적 거래에도 활발히 이용됩니다.

  • 적은 증거금으로 큰 규모의 거래가 가능한 레버리지 효과가 특징이며, 이로 인해 높은 수익률과 높은 위험성을 동시에 가집니다.

  • 농부와 가공업자가 수확 시점이 오기 전에 미리 만나 가을에 거래할 옥수수의 가격과 수량을 약속하는 것

    • 농부: “가을에 옥수수 100톤을 톤당 100만 원에 당신에게 팔겠습니다.”
    • 가공업자: “좋습니다. 가을에 옥수수 100톤을 톤당 100만 원에 당신에게서 사겠습니다.”
    • 농부는 미래에 옥수수 가격이 80만 원으로 폭락하더라도 100만 원을 보장받게 되고,
    • 가공업자는 가격이 120만 원으로 폭등하더라도 100만 원에 안정적으로 원자재를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 서로의 불확실성, 즉 위험]‘을 상대방에게 떠넘김으로써 관리한 것

표준화 항목설명예시
기초자산거래의 대상이 되는 상품. 농산물, 원유, 금 같은 실물자산부터 주가지수, 통화, 금리 등 금융상품까지 다양하다.KOSPI200 지수, 미국 달러, WTI 원유
계약 단위한 번에 거래하는 최소 수량.KOSPI200 선물 1계약 = KOSPI200 지수 x 25만 원
품질 등급실물자산의 경우, 거래될 상품의 품질 기준을 명확히 정한다.WTI 원유: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특정 성분의 원유
만기일계약이 종료되고 최종 결제가 이루어지는 날.3월, 6월, 9월,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