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00:48
이익 (Benefit)
경영학 에서의 이익
이익 = 총수익 (Revenue) - 총비용 (Costs)
| 구분 | 계산식 | 의미와 비유 |
|---|---|---|
| 매출 총이익 (Gross Profit) | 매출액 - 매출원가 | ”이 장사, 얼마나 남는 장사인가?” 상품 자체의 근원적인 수익성. 원재료를 떼와서 제품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얼마나 가치를 더했는지를 보여주는 ‘제품 경쟁력’ 지표. |
|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 매출 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 ”그래서, 주력 사업으로 얼마나 벌었나?” 기업의 핵심 비즈니스 활동의 성과. 재료비 외에 인건비, 월세, 마케팅비까지 모두 제외하고 남은 ‘본업 실력’ 지표. |
| 당기순이익 (Net Income) | 영업이익 ± 영업외손익 - 법인세 | ”최종적으로 주주에게 남는 돈은 얼마인가?” 본업 외에 부수적인 활동(예: 이자, 투자)까지 모두 반영하고 세금까지 낸 후의 ‘최종 성적표’. |
심리학 에서의 이익
1. PERMA 모델: 행복의 5가지 기둥
| 요소 | 영문 명칭 | 핵심 개념 | 비유적 설명 |
|---|---|---|---|
| 긍정 정서 (P) | Positive Emotion | 즐거움, 기쁨, 따뜻함, 희망 등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 | 삶이라는 정원을 가꾸는 데 필요한 햇살. 햇살이 있어야 식물이 자라듯, 긍정 정서는 삶의 활력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
| 몰입 (E) | Engagement | 특정 활동에 완전히 빠져들어 시간 가는 줄 모르는 상태. ‘플로우(Flow)‘라고도 함. | 좋아하는 퍼즐에 집중할 때 주변 소음이 들리지 않는 터널 비전. 몰입은 우리에게 깊은 만족감과 성취감을 준다. |
| 관계 (R) | Relationships | 타인과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 | 혼자서는 들 수 없는 무거운 짐을 함께 들어주는 든든한 동료. 긍정적인 관계는 삶의 고난을 이겨내는 힘의 원천이다. |
| 의미 (M) | Meaning | 자신의 삶이 더 큰 무언가에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고, 가치 있는 목적에 기여하는 것. |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배의 나침반. 의미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역경 속에서도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
| 성취 (A) | Accomplishment |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해 나가면서 느끼는 유능감과 자기효능감. | 높은 산 정상에 올랐을 때의 짜릿함. 성취는 노력의 결실을 맛보게 하며, 더 큰 도전을 향한 동기를 부여한다. |
2. 캐롤 리프의 심리적 안녕감 모델
- 캐롤 리프(Carol Ryff)는 행복을 단순히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쾌락적 접근, Hedonic approach) 이상으로 보았다.
- 그녀는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며 기능하는 삶(자기실현적 접근, Eudaimonic approach)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 심리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6가지 차원을 제시했다.
| 차원 | 핵심 내용 | 높은 점수의 특징 | 낮은 점수의 특징 |
|---|---|---|---|
| 자아 수용 (Self-Acceptance) | 자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여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 자기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며, 과거의 삶을 수용한다. | 자기 자신에게 실망하고, 바꾸고 싶은 부분이 많다고 느낀다. |
| 긍정적 관계 (Positive Relations) | 타인과 따뜻하고 신뢰에 기반한 관계를 맺는 능력. | 공감과 애정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한다. |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
| 자율성 (Autonomy) | 타인의 평가나 압력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신념에 따라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 | 자기 결정적이며, 사회적 압력에 저항하여 자신의 기준에 따라 행동한다. | 타인의 기대와 의견에 크게 의존하며,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한다. |
| 환경 통제 (Environmental Mastery) | 자신의 주변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기회를 창출하며, 자신의 필요에 맞게 환경을 변화시키는 능력. | 복잡한 외부 활동을 잘 관리하며, 자신의 가치와 필요에 맞는 환경을 선택하고 만들어간다. | 일상적인 일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외부 환경을 통제할 수 없다고 느낀다. |
| 삶의 목적 (Purpose in Life) | 삶의 방향성과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와 과거의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 삶의 목표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삶이 의미 있다고 믿는다. | 삶의 목적을 느끼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방향성이 부족하다. |
| 개인적 성장 (Personal Growth) | 자신의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려는 노력과 성장에 대한 개방성. | 자신을 계속해서 발전시키려는 의지가 강하며,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성장한다고 믿는다. | 발전이 정체되어 있다고 느끼며, 새로운 기술이나 행동을 배우는 데 관심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