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22:49
Tags: 사상
민주주의
-
소수의 지배가 아닌, 국가의 주인이 시민 개개인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정치 체제
-
민주주의(Democracy)는 그리스어 ‘데모스(Demos, 인민)‘와 ‘크라토스(Kratos, 지배)‘의 합성어로, ‘인민의 지배’를 의미한다.
- 그 이름처럼 민주주의는 왕, 귀족, 성직자 등 소수가 권력을 독점하던 시대를 끝내고, 국가의 주인은 평범한 시민 개개인이라는 생각에서 출발
-
아테네의 실험 이후 계몽주의 와 함께 살아남
핵심 원칙 | 설명 | 비유 |
---|---|---|
국민 주권 | 국가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며, 최종 결정권자는 국민이라는 원칙. | 배의 소유주이자 항해 방향을 결정하는 선주(船主)가 바로 국민. |
기본권 보장 | 국가가 침해할 수 없는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자유권, 평등권, 참정권 등)를 헌법으로 보장. | 아무리 강력한 국가라도 함부로 들어올 수 없는 개인의 신성한 ‘영역’. |
권력 분립 | 국가 권력을 입법부(국회), 행정부(정부), 사법부(법원)로 나누어 서로 감시하고 균형을 유지. | 세 개의 다리가 서로를 지탱하여 안정적으로 서 있는 ‘삼각대’. |
법치주의 | 통치자를 포함한 모든 국민이 법에 따라야 하며, 법의 지배를 받는다는 원칙. | 경기의 규칙(법)은 선수(국민)와 심판(통치자) 모두에게 공평하게 적용. |
구분 | 대통령제 (Presidential System) | 의원내각제 (Parliamentary System) |
---|---|---|
대표 국가 | 미국, 대한민국, 브라질 등 | 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 |
권력 관계 | 행정부와 입법부의 엄격한 분리 | 행정부와 입법부의 융합 (의회 다수당이 내각 구성) |
행정부 수반 | 대통령 (국민이 직접 선출) | 총리 (의회에서 선출) |
장점 | 대통령 임기 보장으로 정국 안정, 강력한 리더십 | 의회의 내각 불신임 가능, 책임 정치 구현에 유리 |
단점 | 행정부-입법부 대립 시 국정 마비 가능성 | 군소정당 난립 시 정국 불안, 총리 교체 잦을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