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20:34
참
프로그래밍 에서의 참 (True)
-
코드의 흐름을 제어하고 논리적 판단을 내리는 핵심적인 ‘스위치’ 역할 (참과 거짓)
-
‘참’은 ‘불리언(Boolean)‘이라는 데이터 타입으로 표현되며, 현대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조지 불의 논리 대수에서 유래했습니다.
-
단순히
true
값 외에도,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0이 아닌 숫자나 비어있지 않은 문자열 등을 ‘참 같은 값(Truthy)‘으로 간주하여 유연한 코딩 가능 -
결정과 제어: 코드의 실행 흐름을 특정 조건에 따라 분기하거나 반복(반복문)하기 위해. (예:
if
문,while
문) -
논리적 검증: 어떤 상태나 조건이 유효한지, 올바른지 확인하기 위해. (예: 사용자 입력 값 검증)
-
상태 표현: 시스템이나 객체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예:
isLoggedIn
,hasPermission
)
언어 | 참(True) 표현 | 거짓(False) 표현 |
---|---|---|
Python | True | False |
JavaScript | true | false |
Java | true | false |
C++ | true | false |
C# | true | false |
Ruby | true | false |
일반적인 Truthy 값들:
- 0이 아닌 모든 숫자 (예:
1
,-10
,3.14
) - 비어 있지 않은 모든 문자열 (예:
"hello"
," "
) - 비어 있지 않은 모든 배열, 리스트, 딕셔너리 등 컬렉션 (예:
[1, 2]
,{'key': 'value'}
) - 대부분의 객체
일반적인 Falsy 값들:
- 숫자
0
- 빈 문자열
""
null
또는None
undefined
(JavaScript)- 빈 배열, 리스트, 딕셔너리 등 (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