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13:47

Tags: 논리학

귀추(Abductive Reasoning)

  • 불완전한 정보 속에서 가장 그럴듯한 설명을 찾아내는 창의적 추론 방식이다.
  • 연역, 귀납과 달리 새로운 가설을 생성하며, 셜록 홈즈의 추리 방식으로 유명하다.
  • 관찰된 사실로부터 최선의 설명을 추론해내는 지적 활동
구분연역법 (Deduction)귀납법 (Induction)귀추법 (Abduction)
구조법칙 → 사례 → 결과사례 → 결과 → 법칙결과 → 법칙 → 사례
전제 1(법칙) 비가 오면 바닥이 젖는다.(사례) 어제 비가 왔을 때 바닥이 젖었다.(결과) 바닥이 젖어있다.
전제 2(사례) 비가 왔다.(사례) 그저께도 비가 왔을 때 바닥이 젖었다.(법칙) 비가 오면 바닥이 젖는다.
결론(결과) 그러므로 바닥은 젖어있다.(법칙) 그러므로 비가 오면 바닥이 젖는다.(사례) 그러므로 (아마도) 비가 왔을 것이다.
특징확실성. 전제가 참이면 결론은 반드시 참. 새로운 지식 생성 불가.확장성. 새로운 일반 법칙을 생성. 결론은 확률적이며 틀릴 수 있음.창의성.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가설(사례)을 생성. 결론은 개연성에 의존.
목표지식의 증명적용지식의 일반화예측지식의 발견설명
비유수학자가 공식을 적용하여 문제를 푸는 것과학자가 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을 찾는 것탐정이 단서를 조합하여 사건을 재구성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