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01:38

Tags: 심리학 논리학

이성

  • 신화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세상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탄생했으며, 생존과 사회 발전을 위한 핵심 도구 역할을 한다.
  • 이성은 크게 일반 원리에서 구체적 결론을 내는 연역,
  • 개별 사례에서 일반 법칙을 찾는 귀납,
  • 최선의 설명을 추론하는 귀추 등으로 구성되며,
  • 칸트는 이를 순수 이성과 실천 이성으로 나누었다.
  •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윤리적 판단 등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성을 활용할 수 있지만,
  • 감정, 인지 편향, 논리 시스템 자체의 한계 등 명확한 한계점 또한 존재한다.
구분연역 추론 (Deductive Reasoning)귀납 추론 (Inductive Reasoning)
정의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에서 출발하여 구체적이고 필연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여러 구체적인 관찰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이끌어 내는 방식
방향Top-Down (일반 → 구체)Bottom-Up (구체 → 일반)
결론의 성격필연적. 전제가 참이면 결론은 반드시 참이다.개연적. 결론이 참일 가능성이 높지만, 반드시 참은 아니다.
예시전제 1: 모든 사람은 죽는다. 전제 2: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결론: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관찰: 내가 본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이었다. 결론: 세상의 모든 까마귀는 검을 것이다.
주요 사용처수학, 논리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일상 경험

제3의 추론: 귀추법 (Abductive Reasoning)

  • 귀추법은 주어진 현상이나 결과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을 추론하는 방식이다.
  • 귀추법은 불완전한 정보 속에서 가장 합리적인 추측을 해야 하는 의사의 진단, 과학자의 가설 설정, 탐정의 수사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셜록 홈즈가 현장의 단서들을 보고 “범인은 바로 당신이야!”라고 외칠 때 사용하는 추론 방식이 바로 귀추법이다.
  • 관찰: 잔디가 젖어 있다.
  • 가능한 가설들:
    1. 밤새 비가 왔다.
    2. 스프링클러가 작동했다.
    3. 누군가 물을 쏟았다.
  • 최선의 설명 추론 (귀추): 하늘은 맑고, 스프링클러 타이머는 꺼져 있다. 따라서 밤새 비가 왔다는 가설이 가장 그럴듯하다.

칸트의 이성 비판: 순수 이성과 실천 이성

  1. 순수 이성 (Pure Reason):
    • ‘무엇을 알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이성이다.
    • 세계를 인식하고, 과학적 지식을 탐구하며, 형이상학적 진리를 파악하려는 지성의 능력이다.
  2. 실천 이성 (Practical Reason):
    •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이성이다.
    • 도덕 법칙을 인식하고, 양심에 따라 행동하며, 윤리적 결정을 내리는 의지의 능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