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14:43

Tags: 논리학

귀납(Induction)

  • 특정 관찰에서 시작하여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논리적 사고 과정이다.
  • 개별적인 경험과 관찰의 파편들로부터 보편적인 원리나 법칙을 이끌어내려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
종류설명예시
열거적 귀납 (Enumerative Induction)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특정 집합의 일부를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집합 전체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방식. ‘보편적 일반화’라고도 함.위에서 든 백조 예시. 이 주머니에서 꺼낸 10개의 구슬이 모두 빨간색이니, 주머니 속 모든 구슬은 빨간색일 것이다.
통계적 귀납 (Statistical Induction)관찰된 표본의 통계적 속성을 바탕으로 전체 모집단의 통계적 속성을 추론하는 방식. 현대 사회의 여론조사, 품질 관리 등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됨.한 도시의 유권자 1,000명을 무작위로 조사했더니 60%가 특정 후보를 지지했다. 따라서 전체 유권자의 약 60%가 그 후보를 지지할 것이다.
인과적 귀납 (Causal Induction)특정 사건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추론하는 귀납. 존 스튜어트 밀의 ‘일치법’, ‘차이법’, ‘공변법’ 등이 대표적인 방법론이다.특정 식물을 먹은 사람들이 모두 식중독에 걸렸다(일치법). 그 식물을 먹지 않은 사람들은 괜찮았다(차이법). 따라서 그 식물이 식중독의 원인일 것이다.
최선 설명으로의 추론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관찰된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참이라고 추론하는 방식. ‘귀추법(Abduction)‘이라고도 불리며, 과학적 가설 설정이나 탐정의 추리에 주로 사용됨.방에 치즈가 부스러져 있고, 밤새 찍찍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가장 그럴듯한 설명은 쥐가 있다는 것이다.
유비 추론 (Analogical Induction)두 대상이 여러 측면에서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한 대상이 가진 다른 속성을 다른 대상도 가질 것이라고 추론하는 방식.신약 A는 쥐에게 특정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었다. 인간과 쥐는 생리적으로 유사하므로, 신약 A는 인간에게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