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22:37

Tags: 수학

큰 수의 법칙

  •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 평균이 실제 모집단의 평균(기댓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설명
    • 표본의 크기를 충분히 늘리면 개별 사건의 불확실성이 서로 상쇄되면서 전체 결과는 특정 값(기댓값)으로 안정화
구분약한 큰 수의 법칙 (WLLN)강한 큰 수의 법칙 (SLLN)
수렴의 의미확률 수렴 (Convergence in Probability)거의 확실한 수렴 (Almost Sure Convergence)
설명표본 크기 n이 커질수록, 표본 평균이 모평균에서 특정 오차(ε) 이상 벗어날 ‘확률’이 0에 가까워진다.표본 크기 n이 커질수록, 표본 평균이 모평균과 정확히 같아질 ‘확률’이 1이다.
비유화살을 쏠 때, 과녁 중앙에서 특정 거리 이상 벗어날 확률이 점점 줄어드는 것. (단, 한두 번 빗나갈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화살이 결국 과녁 중앙에 명중하고, 그 이후로는 계속 중앙에 머무는 것. (벗어날 가능성 자체가 0으로 수렴)
조건확률 변수들이 동일한 기댓값을 갖고, 분산이 유한하며, 서로 간의 상관관계가 약해야 한다. (상호독립은 필수 조건이 아님)확률 변수들이 독립적이고 동일한 분포(i.i.d.)를 따르며, 기댓값이 존재해야 한다.
강도상대적으로 약한 조건, 약한 결론더 강한 조건, 더 강한 결론
  • 큰 수의 법칙 (LLN): “표본 평균이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답. → “모평균으로 간다.”
  • 중심극한정리 (CLT): “표본 평균들이 어떤 분포를 이루는가?”에 대한 답. → 정규분포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