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7 22:34
Tags: 소프트웨어 공학
메모리 (RAM이 대표적)
- 작업 공간이자 단기기억 저장소
- CPU는 엄청 빠르지만 데이터 저장할 공간 없기 때문에 계속 데이터 주고 일 시키기 위한 주방 조리대 역할 함(CPU와 보조기억장치의 속도 차이 완충)
- SSD나 HDD 는 갈수록 싸지고 커지지만 점차 CPU 에 가까워질수록 비싸지는 트레이드 오프 발생
계층 | 종류 | 특징 | 역할 |
---|---|---|---|
최상위 | 레지스터 (Register) | CPU 내부에 존재, 가장 빠름, 용량이 매우 작음 (KB 단위) | CPU가 현재 처리 중인 명령어와 데이터를 직접 저장 |
중간 | 캐시 (Cache) | CPU와 RAM 사이에 위치, 매우 빠름, 용량이 작음 (MB 단위) | 자주 사용될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CPU의 메모리 접근 속도 향상 |
메인 | 주기억장치 (RAM) | 우리가 흔히 ‘메모리’라고 부르는 것, 빠름, 용량이 비교적 큼 (GB 단위) |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주 작업 공간 |
하위 | 보조기억장치 (SSD/HDD) |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 유지, 느림, 용량이 매우 큼 (TB 단위) |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 |
-
휘발성 메모리
- 전원 꺼지면 사라짐
- RAM(Random Access Memory)
- SRAM: 속도 빠르고 비싸서 캐싱 하는 캐시 메모리나 레지스터에 사용
- DRAM: 가격 저렴하고 속도 느려서 흔히 RAM 이라 부르는 주기억 장치에 사용
-
비휘발성 메모리
- 전원 꺼져도 데이터 유지
- ROM(Read Only Memory)
-
가상메모리: RAM 용량 딸릴떄 보조기억장치(SSD. HDD) 일부를 마치 RAM 처럼 사용하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