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22:45

Tags: 역사

세계 질서

  • “특정 지역이나 문명이 갖고 있는 정당한 권력 배치와 전 세계에 적용 가능한 권력 분배의 본질에 대한 개념” - 헨리 키신저

주요 이론적 접근

현실주의적 접근

  • 현실주의는 세계 질서를 권력정치(power politics) 의 관점에서 해석

  • 현실주의자들에게 국제관계는 중앙집권적 권위가 부재한 무정부적 체제에서 자기이익을 추구하는 국가들 간의 지속적인 경쟁으로 이해됩니다.

  • 토마스 홉스의 철학에 뿌리를 둔 이 접근은 인간 본성을 “죽음에 이르기까지 끝나지 않는 권력에 대한 끊임없고 불안한 욕망”으로 특징짓습니다.

  • 현실주의에서는 세력균형(balance of power) 이 세계 질서 유지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동합니다.

  • 국가들은 생존을 위해 동맹을 형성하고, “내 적의 적은 내 친구”라는 원칙에 따라 잠재적 침략국에 대한 견제 세력을 구축합니다.

  • 케네스 월츠는 양극 체제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두 강대국이 신속한 상호 조정을 통해 의도하지 않은 확전을 방지하고 권력 비대칭의 형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유주의적 접근

  • 자유주의는 보다 낙관적인 관점에서 세계 질서를 바라봅니다.

  • 자유주의자들은 인간 본성이 완전해질 수 있으며, 민주주의, 자유무역, 효과적인 제도를 통해 사회적 진보가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 복잡한 상호의존과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에서 외교정책 결정들이 실제로 세계를 더욱 평화롭고 번영하는 곳으로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 자유주의는 세 가지 평화 이론을 통해 질서 있는 체계를 추구합니다:

  • 민주적 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 상업적 평화론(commercial peace theory), 그리고 **제도적 평화론(institutional peace theory)**입니다.

  • 이러한 접근은 국제기구와 제도가 협력을 촉진하고 평화를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봅니다.

구성주의적 접근

  • 구성주의는 1990년대 이후 등장한 접근으로, 세계 질서의 사회적 구성(social construction) 측면을 강조합니다.

  • 알렉산더 웬트로 대표되는 구성주의자들은 “무정부상태는 국가들이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 국제관계의 구조가 물질적 요인보다는 아이디어와 규범에 의해 형성된다고 봅니다

  • 구성주의에 따르면, 국가들의 정체성과 이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과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구성됩니다.

  • 만약 국가들이 협력하기로 결정한다면 국제관계의 성격은 평화롭고 협력적이 될 것이고, 반대로 자조(self-help) 개념에 의존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갈등적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