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00:31

Tags: 운영체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마우스 클릭과 아이콘을 통해 컴퓨터와 소통하는 방식으로, 명령어(CLI, 터미널) 방식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다.
  • 창, 아이콘, 메뉴, 포인터(WIMP)라는 핵심 요소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직관적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 1970년대, 제록스(Xerox)의 팰로앨토 연구소(PARC) 는 ‘컴퓨터를 누구나 쓸 수 있게 만들자’는 목표 아래 혁신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 그들은 현실 세계의 ‘책상’ 개념을 컴퓨터 화면으로 가져왔다.
    • 파일은 ‘서류’처럼, 프로그램은 ‘도구’처럼 아이콘으로 만들고,
    • ‘마우스’라는 새로운 입력 장치로 화면 위의 ‘포인터’를 움직여 아이콘을 직접 클릭하고 옮기는 방식을 고안

WIMP 윈도우, 아이콘, 메뉴, 포인터

  1. 윈도우 (Windows):
    • 화면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동시에 보여주는 ‘창’이다.
    • 사용자는 창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위치를 옮길 수 있어, 마치 책상 위에서 여러 서류를 동시에 펼쳐놓고 작업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한다.
  2. 아이콘 (Icons):
    • 파일, 폴더, 프로그램, 기능 등을 나타내는 작은 그림이다.
    • 사용자는 텍스트 명령어를 외울 필요 없이, 휴지통 아이콘을 보고 파일을 버리는 작업을, 폴더 아이콘을 보고 파일을 정리하는 작업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메뉴 (Menus):
    •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명령어와 옵션을 목록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 메뉴는 보통 화면 상단이나 창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는 메뉴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쉽게 찾아 실행할 수 있다. (예: 파일 > 저장)
  4. 포인터 (Pointer):
    •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 장치에 반응하여 화면 위에서 움직이는 커서(보통 화살표 모양)이다.
    • 사용자는 포인터를 이용해 아이콘을 선택하고, 메뉴 항목을 클릭하며, 창을 드래그하는 등 화면의 모든 요소를 직접 제어한다.
위젯 종류설명예시
버튼 (Button)클릭하면 특정 동작을 수행한다.로그인, 저장, 취소 버튼
텍스트 상자 (Text Box)사용자가 키보드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공간이다.아이디/비밀번호 입력란, 검색창
체크박스 (Checkbox)여러 옵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다중 선택)‘자동 로그인’, ‘이용약관 동의’
라디오 버튼 (Radio Button)여러 옵션 중 단 하나만 선택할 때 사용한다. (단일 선택)성별 선택 (남/여)
슬라이더 (Slider)막대를 드래그하여 특정 값(볼륨, 밝기 등)을 조절한다.음량 조절 바
드롭다운 목록 (Dropdown List)클릭하면 숨겨진 옵션 목록이 펼쳐진다.출생 연도 선택
탭 (Tab)한 창 내에서 여러 화면을 전환하며 볼 수 있게 한다.웹 브라우저의 여러 탭
스크롤바 (Scroll Bar)창에 모든 내용이 보이지 않을 때 화면을 위아래로 이동시킨다.긴 웹 페이지를 읽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