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23:05
Tags: 심리학
프레이밍
- 똑같은 정보도 어떤 틀(프레임)에 담아 전달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해석과 결정이 극적으로 달라지는 현상이다.
- 인간이 항상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감성과 직관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인지 편향이다.
- 긍정적 프레임은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위험을 회피하게 만들고, 부정적 프레임은 손실에 대한 공포를 자극해 더 큰 위험을 감수하게 만든다.
전설적인 실험: 아시아 질병 문제 (Asian Disease Problem)
- 상황:
- “미국에서 특이한 아시아 질병이 발생하여 600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 두 가지 프로그램이 제안되었습니다. 각 프로그램의 예상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룹 1 (긍정 프레임 - 생존)
- 프로그램 A: 200명을 살릴 수 있다.
- 프로그램 B: 1/3의 확률로 600명을 모두 살리고, 2/3의 확률로 아무도 살리지 못한다.
그룹 2 (부정 프레임 - 죽음)
-
프로그램 C: 400명이 죽을 것이다.
-
프로그램 D: 1/3의 확률로 아무도 죽지 않고, 2/3의 확률로 600명이 모두 죽을 것이다.
-
그룹 1에서는 72% 가 확실하게 200명을 살리는 프로그램 A를 선택했다. (위험 회피)
-
그룹 2에서는 78% 가 600명이 다 죽을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전원 생존 가능성에 거는 프로그램 D 를 선택했다. (위험 추구)
-
똑같은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 ‘살린다(gain)‘는 긍정적 틀로 제시했을 때는 사람들이 확실한 이득을 선호했고,
- ‘죽는다(loss)‘는 부정적 틀로 제시했을 때는 손실을 피하기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프레이밍 효과의 작동 원리: 전망이론과 손실회피성향
개념 | 설명 | 예시 |
---|---|---|
준거점 (Reference Point) | 사람들은 절대적인 가치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기준점(현재 상태, 기대치 등)을 중심으로 이득과 손실을 인식한다. | 100만 원을 가진 사람에게 50만 원이 생긴 것은 ‘이득’이지만, 200만 원을 기대했던 사람에게는 100만 원 ‘손실’로 느껴질 수 있다. |
민감도 체감성 (Diminishing Sensitivity) | 이득이든 손실이든, 그 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준거점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둔해진다. | 0원에서 10만 원을 얻었을 때의 기쁨이 1000만 원에서 1010만 원을 얻었을 때의 기쁨보다 훨씬 크다. |
손실 회피 (Loss Aversion) | 사람들은 같은 크기의 이득에서 얻는 만족감보다 손실에서 느끼는 고통을 훨씬 더 크게 느낀다. 보통 1.5배에서 2.5배 더 아프게 받아들인다. | 10만 원을 얻었을 때의 기쁨보다 10만 원을 잃었을 때의 고통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사람들은 손실을 피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
프레이밍 효과는 **손실회피성향을 자극하여 작동한다.
- 긍정 프레임 (‘살린다’):
- 이득의 영역에서 문제를 바라보게 한다.
- 사람들은 확실한 이득을 놓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위험을 감수하기보다는 확실한 이익(200명 생존)을 선택한다 (위험 회피).
- 부정 프레임 (‘죽는다’):
- 손실의 영역에서 문제를 바라보게 한다.
- 사람들은 손실 그 자체를 극도로 고통스럽게 느끼기 때문에, 확실한 손실(400명 사망)을 받아들이기보다 그 손실을 피할 수 있는 일말의 가능성에 매달리며 위험을 감수한다 (위험 추구).
- 프레임은 우리가 문제를 인식하는 ‘준거점’을 바꾸고, 이득과 손실 중 어느 영역에서 고민하게 할지를 결정함으로써 우리의 최종 선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 리프레이밍 (Re-framing) 하기
- 주어진 정보를 다른 관점에서 의도적으로 재구성해보는 것이다.
- ‘90% 성공률’이라는 말을 들으면, ‘뒤집어 보면 10%는 실패한다는 뜻이군’이라고 생각해본다.
- 긍정 프레임은 부정으로, 부정 프레임은 긍정으로 바꾸어 양쪽 측면을 모두 고려하면 프레임의 덫에서 벗어나 문제의 본질을 볼 수 있다.
- 주어진 정보를 다른 관점에서 의도적으로 재구성해보는 것이다.
- 객관적 데이터에 집중하기
- ‘살린다’, ‘죽는다’, ‘성공’, ‘실패’와 같은 감성적인 언어를 걷어내고, 순수한 숫자와 통계에 집중하려 노력해야 한다.
- 600명 중 200명 생존과 400명 사망은 결국 같은 이야기다.
- 프레임이 씌운 감성적 외피를 벗겨내고 핵심 정보를 분석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 ‘살린다’, ‘죽는다’, ‘성공’, ‘실패’와 같은 감성적인 언어를 걷어내고, 순수한 숫자와 통계에 집중하려 노력해야 한다.
- 결정 과정 늦추기
- 제3자의 조언 구하기
- 나 자신이 프레임에 갇혀있을 때는 객관적인 판단이 어렵다.
- 이해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의견을 물어보면,미처 보지 못한 다른 관점을 발견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