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 프로젝트 구조 설명

프로젝트 개요

이 옵시디언(Obsidian) 볼트는 Zettelkasten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개인 지식 관리 시스템(PKM - Personal Knowledge Management)입니다. 주로 프로그래밍,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공학 관련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결하여 관리하는 목적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핵심 디렉토리 구조

1-📚 참고 노트 (Reference Notes)

  • 용도: 외부 자료의 원본 내용을 저장하는 공간
  • 파일 수: 125개
  • 하위 구조:
    • ai 답변/ - AI로부터 받은 답변들을 정리
    • 강의/ - 온라인 강의 노트 (인프런, 유데미 등)
    • 유튜브/ - 유튜브 강의나 영상 내용 정리
    • 책/ - 도서 내용 요약 및 정리

2-✍️ 문헌 노트 (Literature Notes)

  • 용도: 참고 노트를 자신의 언어로 재해석하고 요약한 내용
  • 파일 수: 24개
  • 하위 구조:
    • 데일리노트/ - 일일 학습 및 작업 기록
    • 임시/ - 임시로 작성된 노트들 (나중에 정리 예정)
    • 주간노트/ - 주간 회고 및 계획

3-🏷️ 태그 (Tags)

  • 용도: 주제별 분류 및 관련 노트들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
  • 주요 태그들:
    • 프로그래밍 언어: 자바스크립트, 타입스크립트, 리액트, 넥스트
    • 기술 분야: 알고리즘, 자료구조, 데브옵스, 소프트웨어 공학
    • 기타: 경영학, 심리학, 의사결정, 게임 이론

4-📋 색인 (Index)

  • 용도: 전체 노트들의 목록과 인덱스 제공
  • 기능: 노트들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화하고 탐색 지원

5-💎 영구 노트 (Permanent Notes)

  • 용도: 깊이 있게 사고하고 정제된 개념들을 저장
  • 파일 수: 77개
  • 특징: 다른 노트들과 연결되어 지식 네트워크의 핵심 노드 역할
  • 예시: 함수형 프로그래밍, 분할 정복, 레드 블랙 트리

지원 시스템

_templates (템플릿)

  • Full Note.md: 새 노트 생성시 자동으로 적용되는 템플릿
  • Tags.md: 태그 노트용 템플릿
  • daily.md: 일일 노트 템플릿
  • weekly.md: 주간 노트 템플릿

_codes (자동화 스크립트)

  • obsidian_metadata_adder.py: 메타데이터 자동 추가 스크립트
  • ai답변 publish.py: AI 답변 노트들의 발행 상태 관리
  • 태그 publish.py: 태그 노트들의 발행 상태 관리
  • convert_git_notes.py: Git 관련 노트 변환 스크립트

assets

  • 용도: 이미지, PDF, 기타 첨부 파일들 저장
  • 포함: 강의 자료, 스크린샷, 다이어그램 등

기술적 특징

사용 중인 플러그인들

  • Core Plugins: 파일 탐색기, 검색, 그래프 뷰, 백링크, 아웃라인 등
  • Community Plugins:
    • dataview: 동적 쿼리로 노트 목록 생성
    • templater-obsidian: 고급 템플릿 기능
    • obsidian-git: Git 버전 관리 연동
    • calendar: 캘린더 뷰 제공
    • periodic-notes: 주기적 노트 관리

자동화 기능

  • Templater 스크립트: 새 노트 생성시 자동으로 제목 설정, 이전 노트 연결, 메타데이터 추가
  • Dataview 쿼리: 관련 노트들을 자동으로 목록화
  • Python 스크립트: 대량의 노트 메타데이터 일괄 처리

메타데이터 시스템

  • publish: 노트의 공개 여부 관리
  • 태그: 주제별 분류
  • 상태: 노트의 완성도 추적
  • 참조: 노트 간 연결 관계 명시

워크플로우

학습 자료 처리 과정

  1. 수집: 강의, 책, 영상 등의 내용을 1-📚 참고 노트에 저장
  2. 소화: 내용을 이해하고 2-✍️ 문헌 노트에 자신의 언어로 재작성
  3. 연결: 관련 개념들을 찾아 기존 노트들과 링크 생성
  4. 정제: 충분히 이해된 개념을 5-💎 영구 노트로 승격
  5. 분류: 3-🏷️ 태그를 통해 주제별로 정리

지식 탐색 과정

  1. 태그 기반 탐색: 관심 주제의 태그 노트에서 시작
  2. 링크 추적: 백링크와 나가는 링크를 따라 관련 노트 탐색
  3. 그래프 뷰 활용: 노트 간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
  4. 검색 활용: 특정 키워드나 개념 검색

특별한 장점

연결성 (Connectivity)

  • 모든 노트가 링크로 연결되어 하나의 지식 네트워크 형성
  • 서로 다른 분야의 개념들 간 연결 발견 가능

확장성 (Scalability)

  • 새로운 노트 추가시 기존 노트들과 자동으로 연결
  • 태그 시스템으로 대량의 노트도 체계적 관리

자동화 (Automation)

  • 템플릿과 스크립트로 반복 작업 최소화
  • 메타데이터 관리 자동화

버전 관리 (Version Control)

  • Git 연동으로 모든 변경사항 추적 가능
  • 협업과 백업 동시 해결

활용 권장사항

새 사용자를 위한 팁

  • 먼저 기존 태그들을 둘러보며 어떤 주제들이 다뤄지는지 파악
  • 새 노트 작성시 반드시 기존 노트들과의 연결 고려
  • 임시 폴더의 노트들을 정기적으로 정리하여 적절한 위치로 이동
  • Dataview 쿼리를 활용하여 관련 노트들을 자동으로 추적

유지보수 가이드

  • 주기적으로 2-✍️ 문헌 노트/임시/ 폴더 정리
  • 영구 노트로 승격 가능한 문헌 노트들 식별
  • 끊어진 링크나 중복 노트들 정리
  • Python 스크립트를 활용한 메타데이터 일관성 유지

이 시스템은 지속적인 학습과 지식 축적을 통해 개인의 전문성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