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10:15

Tags:소프트웨어 공학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범주


📜 명령형 프로그래밍 (Imperative Programming)

“어떻게(How)” 할 것인지에 집중하는 방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하나하나 상세하게 명령하는 스타일.


📢 선언형 프로그래밍 (Declarative Programming)

“무엇을(What)” 할 것인지에 집중하는 방식. ‘어떻게’ 할지는 컴퓨터에 맡기고, 원하는 ‘결과’가 무엇인지만을 선언하는 스타일.

  • 함수형 프로그래밍: 모든 것을 수학적 함수의 조합으로 보고, 상태 변화 없이 계산으로 문제를 해결. (예: Haskell, Lisp, JavaScript의 일부 기능)
  • 논리형 프로그래밍: 논리적인 규칙들을 정의하고, 그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답을 찾게. (예: Prolog)
  • 데이터베이스 쿼리 언어: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조건을 명시. (예: SQL)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 명령형 (Imperative) - "어떻게"
│   ├── 절차 지향 (Procedural)
│   └── 객체 지향 (Object-Oriented)
│
└── 📢 선언형 (Declarative) - "무엇을"
    ├── 함수형 (Functional)
    ├── 논리형 (Logic)
    └── 데이터베이스 쿼리 (e.g., SQL)

References

명령형 프로그래밍 선언형 프로그래밍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함수형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핸드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