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17:00
Status:
Tags: 프로그래밍 기초
중복 제거
데이터 중복 제거의 역사 | 마이할로는 1970년대부터 대용량 고객 정보를 한정된 공간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시작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데이터양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하드코딩과 단순 복붙으로는 더이상 데이터를 제대로 다루고 관리할 수 없게 됨
데이터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도 점차 크고 복잡해짐에 따라 단순 복붙과 하드코딩만으로는 한계 봉착
단순한 값은 변수 로 중복제거하고 반복하는 로직은 함수로 중복제거 반복되는 객체 구조는 클래스로 중복제거
3의 법칙
하지만 모든 중복을 볼때마다 함수로 만드는 식으로 추상화하고 중복 제거하려고 하다보면 오히려 복잡도와 코드가 꼬일 수 있다. 코딩하다보면 처음엔 동일하다가도 나중엔 로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설령 똑같은 코드여도 독립성을 유지하는게 나은 경우도 있다.
무작정 중복이 보인다고 추상화 하지말고 3번 중복 이 보이면 그때 추상화하는 것이 좋은 원칙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