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00:44
서사 (Narrative)
- ‘특정한 시점(Point of View)에서 인물(Character)들이 겪는 유의미한 사건(Plot)들의 인과적 연결’
- 단순한 이야기 이상으로, 사건, 인물, 배경을 엮어 의미를 창조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소통 방식이다
- 우리는 흩어진 정보의 조각들을 서사라는 틀에 넣어 비로소 세상을 이해 가능한 형태로 받아들인다.
- 모든 서사는 플롯, 인물, 배경, 갈등, 주제, 시점이라는 6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이 완성도를 결정한다.
1. 플롯 (Plot): 사건의 인과적 설계도
- 플롯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에 대한 답이며, 사건들을 인과관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배열한 것이다.
- 가장 보편적인 플롯 구조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정립하고 구스타프 프라이타크가 발전시킨 ‘프라이타크의 피라미드(Freytag’s Pyramid)‘다.
| 단계 | 설명 | 예시 (신데렐라) |
|---|---|---|
| 발단 (Exposition) | 인물, 배경, 초기 상황을 소개하며 이야기의 기초를 다진다. | 재투성이 신데렐라가 계모와 언니들에게 구박받으며 살고 있다. |
| 상승 활동 (Rising Action) | 갈등이 시작되고 점차 심화되며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 왕궁 무도회 소식이 전해지고, 요정 대모의 도움으로 신데렐라가 무도회에 간다. |
| 절정 (Climax) | 갈등과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는 전환점. 이야기의 향방이 결정된다. | 신데렐라가 왕자와 춤을 추지만, 12시가 되어 유리구두 한 짝을 남기고 급히 떠난다. |
| 하강 활동 (Falling Action) | 절정 이후의 사건들을 정리하며 긴장이 완화된다. | 왕자가 유리구두의 주인을 찾기 위해 온 나라를 수소문한다. |
| 대단원 (Dénouement) | 모든 갈등이 해소되고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 신데렐라의 발에 유리구두가 꼭 맞고, 왕자와 결혼하여 행복하게 산다. |
2. 인물 (Character): 서사를 이끄는 행위자
- 인물은 서사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존재다. 독자나 관객은 인물을 통해 이야기에 감정적으로 이입하고 서사를 체험한다.
- 주동인물 (Protagonist):
-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중심인물.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독자의 응원을 받는다.
- 적대인물 (Antagonist):
- 주동인물의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인물이나 세력. 갈등의 주된 원천이다.
- 부차적 인물 (Secondary Characters):
- 주동인물을 돕거나 방해하며 플롯을 보조하는 조연들.
- 입체적 인물 (Round Character):
- 복잡하고 다층적인 성격을 지녔으며, 이야기 속에서 변화하고 성장한다.
- 평면적 인물 (Flat Character):
- 한두 가지 특징으로 요약되는 단순한 성격의 인물. 전형적인 인물(Stock Character)이 여기에 해당한다.
- 위대한 서사는 인물의 ‘성장 호(Character Arc)‘를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 인물은 시련을 겪으며 내면적, 외면적으로 변화하고, 독자는 그 변화의 과정에서 카타르시스와 교훈을 얻는다.
3. 배경 (Setting): 이야기의 시공간적 무대
- 배경은 이야기가 펼쳐지는 시간과 장소를 의미한다.
- 단순한 무대를 넘어 서사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인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때로는 그 자체가 하나의 인물처럼 기능하기도 한다.
- 물리적 배경: 국가, 도시, 건물, 지형 등 구체적인 장소.
- 시간적 배경: 역사적 시대, 계절, 하루 중의 시간 등.
- 사회·문화적 배경: 사회의 규범, 가치관, 정치·경제 체제 등. (예: 조지 오웰의 《1984》 속 전체주의 사회)
4. 갈등 (Conflict): 서사의 엔진
- 갈등이 없으면 서사도 없다.
- 갈등은 인물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장애물이며, 이야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핵심 동력이다.
- 내적 갈등 (Internal Conflict): 인물 내부의 심리적 고뇌, 딜레마. (인물 대 자신)
- 외적 갈등 (External Conflict): 인물 외부의 존재와의 충돌.
- 인물 대 인물: 주동인물과 적대인물의 대립.
- 인물 대 사회: 사회의 부조리나 억압에 맞서는 개인.
- 인물 대 자연: 재난, 야생 등 거대한 자연의 힘과 싸우는 인간.
5. 주제 (Theme): 서사가 던지는 핵심 메시지
- 주제는 서사의 표면 아래에 흐르는 중심 생각이나 질문이다.
- ‘사랑’, ‘정의’, ‘성장’, ‘죽음’ 등 인류 보편적인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며, 서사에 깊이와 무게를 더한다.
- 주제는 작가가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 플롯, 인물의 행동, 상징 등을 통해 암시적으로 드러날 때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6. 시점 (Point of View): 이야기를 전달하는 창
- 시점은 누가, 어떤 관점에서 이야기를 전달하는지를 결정한다.
- 어떤 시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독자가 받아들이는 정보의 양과 이야기에 대한 해석이 크게 달라진다.
- 1인칭 시점 (First-person):
- ‘나’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한다.
- 독자는 ‘나’의 생각과 감정을 직접적으로 느끼지만, ‘나’가 보거나 아는 것만 알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3인칭 제한적 시점 (Third-person Limited):
- 서술자가 특정 인물(주로 주동인물)의 시선에 초점을 맞춰 그의 생각과 감정만 전달한다.
- 3인칭 전지적 시점 (Third-person Omniscient):
- 서술자가 신처럼 모든 인물의 생각과 감정, 과거와 미래까지 알고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