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13:06

Tags: 의사결정

복잡성 (Complexity)

  •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며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낳는 시스템의 근본적인 특성이다.
    • 환원주의 적으로 개별 요소를 쪼개면 전체를 이해할 수 있다는 생각의 한계에서 탄생
    • 복잡함(Complicated) 은 시계나 로켓처럼 이해하기 어려울 뿐 오래 시간을 들이면 완벽히 분석 가능
    • 복잡성 (Complexity) 은 생태계, 인간 사회, 주식 시장 등 상호작용으로 인해 전체를 예측, 통제 불가능한 시스템
  • 복잡한 시스템은 통제와 예측 대신, 단순한 규칙과 적응을 통해 탐색하고 대응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요구한다.
속성설명예시
행위자 (Agents)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 스스로 환경 정보를 받아들이고, 내재된 규칙에 따라 행동한다.개미 한 마리, 투자자 한 명, 뉴런 하나
상호작용 (Interactions)행위자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방식. 이 과정은 대부분 국소적이고(주변 행위자와만), 비선형적이다.개미들이 페로몬으로 소통, 투자자들의 매수/매도 결정, 뉴런의 시냅스 연결
창발 (Emergence)개별 행위자들의 단순한 국소적 상호작용이 모여, 시스템 전체 수준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거시적인 패턴이나 행동이 나타나는 현상. 복잡성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다.개미들이 모여 거대한 개미집을 건설, 새들이 모여 거대한 V자 대형으로 비행, 투자자들이 모여 시장 붕괴를 초래
적응 (Adaptation)행위자와 시스템 전체가 경험을 통해 자신의 행동 규칙이나 구조를 변화시켜 환경에 더 잘 맞게 진화하는 능력.바이러스의 변이, 기업의 사업 모델 전환, 뇌의 학습 능력
자기조직화 (Self-Organization)중앙 통제나 외부의 개입 없이 시스템 스스로 질서 있는 구조와 패턴을 만들어내는 현상. 창발의 결과물이다.눈송이의 대칭 구조, 도시의 자연스러운 구획 형성, 생명체의 발생 과정
피드백 루프 (Feedback Loops)시스템의 한 부분에서 나온 결과가 다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순환 구조. 변화를 증폭시키거나(양성 피드백), 안정시키는(음성 피드백) 역할을 한다.주가 상승이 더 많은 매수를 불러오는 것(양성), 체온이 오르면 땀을 흘려 식히는 것(음성)
혼돈의 가장자리 (Edge of Chaos)시스템이 완전한 질서(정체)와 완전한 혼돈(붕괴) 사이의 좁은 경계에 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적응력을 발휘하는 상태. 생명과 혁신이 탄생하는 역동적인 공간이다.안정적인 기업에 위기가 닥쳤을 때 혁신이 일어나는 경우

사고방식의 전환: 통제에서 조율로

  1. 예측에서 대비로 (From Prediction to Preparation):
    • 미래는 예측의 대상이 아니다.
    • 대신 다양한 시나리오를 상상하고, 어떤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기르는 데 집중해야 한다.
    • 단일 최적화 계획 대신, 여러 옵션을 열어두는 전략이 유효하다.
  2. 명령과 통제에서 단순한 규칙으로 (From Command & Control to Simple Rules):
    • 모든 상황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필연적으로 실패한다.
    • 복잡계는 세세한 규칙보다, 행위자들이 따라야 할 몇 가지 ‘단순한 핵심 규칙’을 제공했을 때 더 나은 결과를 낳는다.
    • 새들이 “이웃 새와 거리를 유지하고, 같은 방향으로, 중심으로 향하라”는 단순한 규칙으로 화려한 군무를 추는 것처럼 말이다.\
  3. 분석에서 실험으로 (From Analysis to Experimentation):
    • 완벽한 계획을 세우기 위해 시간을 허비하는 대신, ‘작게 시작하고, 빠르게 실패하고, 빨리 배우는’ 실험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
    • 안전한 환경에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무엇이 효과가 있는지 직접 확인해야 한다.
    • 이를 ‘탐침-감지-대응(Probe-Sense-Respond)’ 접근법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