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00:28

Tags: 경영학

메타 광고

단계역할비유주요 설정 항목
캠페인 (Campaign)‘WHY’ (왜 이 광고를 하는가?)건물의 설계도광고 목표(브랜드 인지도, 트래픽, 판매 등)
광고 세트 (Ad Set)‘WHO, WHERE, WHEN’ (누구에게, 어디에, 언제 보여줄까?)건물의 각 층과 방타겟, 노출 위치, 예산, 일정
광고 (Ad)‘WHAT’ (무엇을 보여줄까?)방 안의 가구와 인테리어이미지, 영상, 광고 문구(카피)

1단계: 캠페인 (Campaign) - 목표 설정

  • 모든 마케팅 활동의 시작은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메타는 비즈니스 목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캠페인 목표를 제공한다.
  • 인지도: 더 많은 사람에게 브랜드를 알리고 싶을 때
  • 트래픽: 웹사이트나 앱으로 더 많은 사람을 보내고 싶을 때
  • 참여: 게시물에 ‘좋아요’, 댓글을 늘리거나 페이지 팔로워를 모으고 싶을 때
  • 잠재 고객: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사람들의 연락처(이메일, 전화번호 등)를 수집하고 싶을 때
  • 앱 프로모션: 앱 설치나 앱 내 특정 행동을 유도하고 싶을 때
  • 판매: 제품이나 서비스의 실제 판매를 늘리고 싶을 때
  • 핵심: 여기서 어떤 목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메타의 인공지능(AI)은 해당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을 찾아 광고를 최적화한다.
    • 웹사이트 트래픽이 목표라면 클릭을 잘하는 사람들에게, 판매가 목표라면 구매 전환율이 높았던 사람들에게 광고를 우선 노출하는 식이다.

2단계: 광고 세트 (Ad Set) - 전략의 구체화

  • 캠페인에서 ‘무엇을’ 할지 정했다면, 광고 세트에서는 ‘어떻게’ 할지를 구체화한다.
  • 타겟 (Targeting): 메타 광고의 가장 강력한 기능이다.
    • 핵심 타겟 (Core Audiences):
      • 인구 통계학적 정보(나이, 성별, 위치), 관심사(스포츠, 요리 등), 행동(특정 기기 사용자, 온라인 쇼핑 이용자 등)을 기반으로 타겟을 설정한다.
    • 맞춤 타겟 (Custom Audiences):
      • 이미 비즈니스와 상호작용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타겟팅한다. (예: 웹사이트 방문자, 고객 데이터베이스, 앱 사용자)
    • 유사 타겟 (Lookalike Audiences):
      • 맞춤 타겟과 유사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새로운 사람들을 찾아 타겟팅한다. 가장 효율적인 타겟 확장 방식 중 하나다.
  • 노출 위치 (Placements): 광고를 어디에 보여줄지 결정한다.
    • 페이스북 뉴스피드, 인스타그램 스토리, 릴스, Messenger 등 다양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 ‘어드밴티지+ 노출 위치(자동)‘를 선택하면 메타 AI가 가장 성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자동으로 광고를 노출한다.
  • 예산 및 일정 (Budget & Schedule):
    • 광고에 사용할 총비용이나 일일 예산을 설정하고, 광고 집행 기간을 정한다

3단계: 광고 (Ad) - 고객과의 첫 만남

  • 고객이 실제로 보게 되는 콘텐츠를 만드는 단계이다.
  • 광고 형식 (Format):
    • 단일 이미지, 동영상, 여러 개의 이미지/영상을 넘겨볼 수 있는 슬라이드(Carousel), 카탈로그 형태의 컬렉션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
  • 광고 소재 (Creative):
    •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이미지나 영상.
  • 광고 문구 (Copy):
    • 제품/서비스의 가치를 설명하고 고객의 행동을 유도하는 텍스트.
  • 행동 유도 버튼 (Call to Action, CTA):
    • ‘더 알아보기’, ‘지금 구매하기’, ‘예약하기’ 등 사용자가 다음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