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18:40
Tags: 심리학
더닝-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
- 특정 분야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의 실력을 실제보다 훨씬 높게 평가하는 인지 편향이다.
- 이 현상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메타인지 능력이 모두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 진정한 전문가들은 오히려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지속적인 학습과 피드백을 통해 이 편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 첫 번째 저주: 능력이 부족하여 해당 과제에서 형편없는 결과를 낸다.
- 두 번째 저주: 바로 그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의 결과가 얼마나 형편없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능력조차 없다.
| 특징 | 더닝 크루거 효과 (무지의 산) | 가면 증후군 (절망의 계곡) |
|---|---|---|
| 대상 | 특정 분야의 초보자, 하위 능력자 | 특정 분야의 전문가, 상위 능력자 |
| 자기 평가 |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 |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 |
| 원인 | 메타인지 부족, 지식의 부족 | 거짓 합의 효과, 높은 기준 |
| 심리 상태 | 근거 없는 자신감, 오만함 | 불안, 자기 의심, 사기꾼이 된 기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