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23:03
Tags: 프로그래밍 기초
기술 문서
1.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첫 만남을 성공으로 이끄는 길
- ‘시작하기’ 섹션은 사용자가 제품을 처음 접했을 때 보게 되는 가장 중요한 관문이다.
- 이 단계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면, 사용자는 금방 흥미를 잃고 떠나버릴 수 있다.
- 따라서 복잡한 설명은 최대한 배제하고,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구성해야 한다.
- 개요 (Overview):
- 제품이 무엇인지, 어떤 문제를 해결해 주는지 한두 문장으로 명확하게 설명한다.
- 설치 및 설정 (Installation & Setup):
-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설치 및 설정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한다.
- 각 단계는 명확한 스크린샷이나 코드 예제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Hello, World!” (빠른 시작 가이드):
- 설치 후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실행해보는 간단한 튜토리얼을 제공한다.
-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나도 할 수 있다”는 성취감을 느끼고, 제품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출 수 있다.
2. 핵심 가이드 (Guides) 개념부터 활용까지 깊이 있는 이해
- ‘가이드’ 섹션은 제품의 핵심 개념과 주요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부분이다.
- ‘시작하기’가 숲을 보여주는 과정이었다면, ‘가이드’는 숲속의 나무 하나하나를 자세히 살펴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주요 개념 (Core Concepts):
- 제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개념과 용어를 설명한다.
- 추상적인 개념은 비유나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 주제별 가이드 (Topical Guides):
-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주제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구현하기’, ‘데이터베이스 연동하기’와 같이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체적인 과정을 안내한다.
- 예제 코드 (Code Examples):
- 단순히 설명만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작동하는 예제 코드를 풍부하게 제공해야 한다.
- 예제 코드는 복사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완결된 형태를 갖추고, 각 코드 라인에 대한 상세한 주석을 덧붙이는 것이 좋다.
3. API 레퍼런스 (API Reference) 개발자를 위한 상세 명세서
- ‘API 레퍼런스’는 개발자들이 가장 자주 찾는 부분으로, API의 모든 기능을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술한 명세서다.
- 사람이 읽기 좋은 ‘가이드’와 달리, ‘레퍼런스’는 기계가 읽기 좋을 정도로 명확하고 일관된 형식을 유지해야 한다.
- Swagg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API 코드를 기반으로 레퍼런스 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 인터랙티브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 요소 | 설명 | 예시 |
|---|---|---|
| Endpoint | API에 접근할 수 있는 URL 경로 | /users/{userId} |
| Method | HTTP 요청 방식 (GET, POST, PUT, DELETE 등) | GET |
| Parameters | 요청 시 전달해야 하는 값 (Path, Query, Body 등) | userId (integer): 사용자의 고유 ID |
| Request Example | 실제 API 요청 예시 | curl -X GET "https://api.example.com/v1/users/123" |
| Response Example | 성공 및 실패 시의 응답 예시 (JSON, XML 등) | {"id": 123, "name": "Alice", "email": "alice@example.com"} |
| Error Codes | 발생 가능한 에러 코드와 그 의미 | 404 Not Found: 해당 사용자를 찾을 수 없음 |
4. 그 외 필수 구성 요소
- 튜토리얼 (Tutorials): 특정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 해보는 실습 중심의 가이드.
- 문제 해결 (Troubleshooting / FAQ): 사용자들이 자주 겪는 문제와 그 해결 방법을 정리한 섹션.
- 릴리즈 노트 (Release Notes): 버전별 변경 사항, 새로운 기능, 버그 수정 내역 등을 기록.
- 용어 사전 (Glossary): 문서 내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를 알파벳순으로 정리하고 설명.